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지난해 무역 1조달러 달성 실패 “저유가 쇼크”(종합)

지난해 무역 1조달러 달성 실패 “저유가 쇼크”(종합)

등록 2016.01.01 11:02

이승재

  기자

공유

수출 5272억달러·수입 4368억달러
유가영향품목 총수출 감소분에 64%
내년 FTA·세계교역 성장세 등 긍정적

수출입 동향. 자료=산업통상자원부수출입 동향.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지난해 우리나라는 5년 연속 무역규모 1조달러 달성에 실패했다. 수출은 3년 만에 감소세다. 세계교역량이 침체된 가운데 중국의 수입구조 변화 등 구조적 요인이 겹친 탓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지난해 수출이 5272억달러로 2014년과 비교해 7.9% 줄었다고 밝혔다. 수입 역시 4368억달러로 16.9% 감소했다. 수출액보다 수입액의 감소량이 더 커 무역수지는 904억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무역규모는 9640억 달러로 2011년 이후 이어오던 무역규모 1조달러 달성에 실패했다. 산업부는 세계경기 둔화, 유가하락, 세계교역 축소 등 경기적 요인과 중국의 수입구조 변화, 해외생산 확대 등 구조적 요인의 영향으로 부진했다고 분석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무선통신기기(10.0%)·반도체(0.5%)·컴퓨터(-1.0%)는 각각 휴대폰 부품, 시스템 반도체, SSD 호조로 증가했다.

다만 철강(-15.0%)·평판DP(-8.1%)·자동차(-6.4%)·일반기계(-3.2%) 등은 공급과잉, 신흥국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감소했다.

특히 석유제품·석유화학이 저유가에 따른 단가 하락으로 전년대비 각각 36.6%, 21.4% 줄었다. 유가영향품목에서만 총 289억달러가 감소한 셈으로 총수출 감소분인 455억달러에 64%를 차지했다.

반면 화장품(53.5%)·SSD(26.6%)·OLED(25.0%) 등 신규 유망품목 수출은 큰 폭 성장했다.

특히 지난해 대(對)베트남 수출이 24.3% 상승하며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현지 생산기지로의 수출이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베트남을 제외한 지역에서의 수출은 대체로 부진했다. 중국으로의 수출은 5.6% 감소했으며 대미국 수출 역시 0.6% 줄었다.

이밖에 유럽연합(EU,-6.9%), 아세안(-11.4%), 중남미(-14.6%), 중동(-12.4%), 일본(-20.4%), CIS(-49.8%) 도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른 자원수출국 경기 둔화 등의 이유로 수출이 침체됐다.

수입의 경우 자본재, 소비재 수입은 늘었으나 유가하락으로 인한 원자재 수입 감소로 총수입에서 큰 폭 감소했다.

산업부는 올해 수출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저유가를 꼽았다. 유가하락 영향을 제외한다면 올해 수출은 5561억달러, 수입은 4910억달러, 무역수지 651억달러라는 분석 결과도 내놨다.

또 단가하락에 따른 수출액은 감소했으나 주요국 대비 견조한 물량 증가세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세계무역기구(WTO)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세계 수출순위는 지난해 7위에서 한 단계 상승한 6위를 기록했다. 주요국 수입시장 점유율에서 경쟁국 대비 점유율도 상승하거나 유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내년 무역여건은 소폭 회복될 것”이라며 “선진국 중심의 완만한 경기 회복과 세계교역 성장세 회복, 한·중 한·베트남 등 신규 발효 자유무역협정(FTA)이 긍정적 요인”이라고 밝혔다.

다만 중국의 성장 둔화, 저유가 지속,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 경기 둔화 심화 가능성 등 하방리스크의 현실화에 대한 대비는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산업부는 내년 수출은 전년 대비 2.1% 증가한 5382억달러, 수입은 2.6% 늘어 4482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승재 기자 russa88@

관련태그

뉴스웨이 이승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