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애착 갖고 일했는데···” 흔들리는 삼성 내부 민심

[갤노트7 단종]“애착 갖고 일했는데···” 흔들리는 삼성 내부 민심

등록 2016.10.11 18:19

수정 2016.10.12 08:18

정백현

  기자

공유

고강도 감사說·성과급 실종說 ‘흉흉’‘두문불출’ 고동진 사장도 수심 가득허무함 못 이긴 직원들 이탈 조짐도

서울 서초동 삼성타운 앞 삼성전자 현판 주변을 지나치는 삼성 임직원들.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서울 서초동 삼성타운 앞 삼성전자 현판 주변을 지나치는 삼성 임직원들. 사진=이수길 기자 leo2004@newsway.co.kr

삼성전자가 11일 갤럭시노트7에 대한 단종 결정을 내리면서 삼성전자 일부 직원들이 적잖게 동요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1일 삼성전자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또 다시 일어난 발화 사고로 인해 2차 생산·판매 중단이 결정되고 결국 단종으로 갤럭시노트7 프로젝트의 방향이 정해진 사실이 알려지면서 직원들이 동요하고 있다.

최근 회사 내 분위기는 매우 어둡다. 직원들의 대화 분위기에서는 밝은 얘기가 전혀 오가지 않고 있다. 다른 직장을 알아보는 직원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미래전략실 차원에서 무선사업부에 대한 경영진단을 진행하고 고위 경영진에 대한 집중 감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임원은 보직해임까지 됐다는 이야기도 들리고 있다.

9월 2일 ‘대국민 사과’ 이후 두문불출하고 있는 고동진 무선사업부장 겸 사장의 얼굴 역시 매일 수심에 가득 차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실무선에서 일하고 있는 직원들은 직접적으로 동요하고 있다. 그 배경으로는 나빠지는 처우 문제가 가장 먼저 꼽히고 있다.

삼성전자는 연초에 설정한 경영 계획보다 초과되는 이익을 창출했을 경우 그 초과이익의 20%를 임직원들에게 분배하고 있다. 바로 성과인센티브(OPI) 제도다.

그동안 모바일(IM)부문 무선사업부 직원들은 삼성전자 내 3개 사업 부문 중에서 반도체사업부와 더불어 가장 많은 OPI를 받았다. 실제로 무선사업부와 반도체사업부 직원들은 2015년과 올해 초 2년 연속으로 기본급의 50%에 해당하는 최고 수준의 OPI를 받았다.

그러나 올해는 지난해보다 못한 인센티브를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반기 흥행에 나서야 할 갤럭시노트7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도 못한 상황에서 고꾸라지면서 연초 세운 이익 창출 계획을 달성하지 못하게 됐다. 초과이익을 못 넘기면 OPI도 없다.

두 차례 판매 중단과 단종으로 인한 허탈감이 동요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특히 R&D나 마케팅 관련 부서 직원들 같은 경우 오랫동안 공들여 만든 제품이 석 달도 채 못 간 시점에서 시장에서 ‘폐품’ 판정을 받은 것에 대해 적잖은 허무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 직원은 “매번 기본급의 50% 수준으로 책정됐던 OPI를 아예 받지 못한다면 경쟁사보다도 못한 대우를 받게 된다”며 “고생은 고생대로 했는데 대우도 제대로 못 받고 ‘폭탄이나 만든다’는 욕까지 먹으며 일을 하려니 회사 다닐 의욕이 떨어진다”고 토로했다.

정백현 기자 andrew.j@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