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게이트' 관련 이재용 부회장 검찰 소환지난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논란 재차 수면 위로찬성 과정에서 '외부 입김' 작용 여부 관심 집중국민연금 측은 "정당한 의결권 행사" 해명
또 한편에서는 최순실 일가와 삼성, 국민연금까지 얽힌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오르는 중이다. 특히 국민연금의 경우 삼성이 정부를 등에 업은 최순실 일가 사업에 자금을 제공하는 대가로 그룹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꼭 필요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찬성표를 던진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점차 확산되는 모양새다.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에 찬성하다
앞서 삼성그룹은 지난해 5월26일 공시를 통해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 사실을 시장에 공개했다. 두 회사의 합병비율은 1대0.3500885로 제일모직 1주당 삼성물산 3주의 가치를 부여한다는 게 핵심 내용이었다.
문제는 시가총액이나 사업 규모가 큰 삼성물산의 가치가 지나치게 저평가됐다는 점이다. 이에 대해 시장 일각에서는 제일모직의 대주주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일가의 이익을 극대화해 그룹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꼼수’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실제로 두 회사의 합병에 반대 의견도 잇따랐다. 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를 비롯한 외국계 투자자와 경제개혁연대 등 시민단체, 일부 개인투자자들이 합세해 합병의 부당함을 지적하면서 합병 승인 여부가 초미에 관심사로 떠올랐다.
이 과정에서 삼성그룹의 ‘백기사’로 등장한 것이 바로 국민연금이다.
당시 국민연금은 삼성물산의 최대주주로써 합병 안건을 좌우할 수 있는 '캐스팅보트(Casting Vote)'를 쥐고 있었다. 합병에서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쪽 모두 20%대 지분을 확보하는 데 그쳤던 만큼 국민연금이 모든 것을 결정하게 된 셈이다.
결국 국민연금 측은 내부 논의 끝에 7월10일 합병에 찬성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에 대해 일부에서 ‘재벌 봐주기’라는 비판이 쏟아지기도 했지만 결국 삼성그룹은 주주총회 표대결에서 승리를 거두게 된다.
△“원칙 따라 의결권 행사” 했다지만···
일단 국민연금은 최근 불거진 논란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에 나서는 모양새다.
국민연금은 15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해 의결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찬성한 것은 국내주식 포트폴리오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에 달하는 점을 감안해 합병에 따른 시너지 효과, 주식 가치 상승 여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데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또 공식 자문기구와 세계적인 자문업체들의 반대 권고와 상반된 결정을 한 데 대해서도 “자문기관의 의견은 각 사 주주의 입장에서만 고려한 결과인 만큼 양사 주식을 모두 보유한 국민연금은 전체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 등을 스스로 판단해야만 한다”며 “의결권행사는 전문기관 의견에 구속되지 않으며, 과거에도 자문기관 의견과 달리한 사례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앞서 법원은 삼성물산 합병과 관련해 그룹 및 국민연금의 입장과는 다른 판단을 내렸다.
지난 5월 서울고등법원은 일성신약과 소액주주 등이 ‘과거 삼성물산이 합병때 제시한 주식 매수청구 가격이 너무 낮다’는 이의 제기에 “삼성 측이 제시한 가격보다 16% 가량 높은 가격이 적정하다”고 판결한 바 있다.
이어 “합병을 결의할 무렵 삼성물산의 주가각 객관적 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며 “삼성물산이 대주주 일가를 위해 의도적으로 주가를 낮게 관리했고, 합병 결의를 앞두고 국민연금이 삼성물산 주식을 대량 매도한 것 역시 정당한 투자 판단에 근거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의심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정권 실세와 연관된 기금운용본부장
여기에 이사장과 함께 기금 운용의 중요한 권한을 지닌 기금운용본부장 자리를 정권 실세와 관계 있는 인물이 잇따라 차지했다는 점도 논란거리다.
삼성물산 합병 당시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장에 재직하던 홍완선 씨는 하나은행 자금시장그룹대표(부행장) 등을 역임한 뒤 공개채용 절차를 거쳐 지난 2013년 11월 임명됐다.
그는 삼성물산 합병과 관련된 의혹이 불거지자 “충분한 가치 평가를 거쳐 결정했다”고 해명한 바 있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 국민연금이 SK C&C와 SK 합병에 대해 주주가치 훼손을 이유로 반대 의견을 냈던 것과 비교하면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었다.
홍 전 본부장은 박근혜 정부의 대표적인 ‘진박(朴)’ 인사로 분류되는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와 대구고 동기 동창이다. 최 전 부총리는 2014년 7월 부총리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취임한 이후 작년 12월까지 1년 5개월 간 경제부처 수장을 맡았다.
삼성물산 합병이 진행됐던 시기 역시 최 전 부총리 재임 기간과 일치한다. 묘하게도 삼성그룹은 합병 직후인 지난해 9월 이후 최순실 씨와 관련 혐의를 받고 있는 비덱스포츠를 비롯해 미르·K스포츠재단에 200억원이 넘는 자금을 지원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홍 전 본부장에 이어 현임 강면욱 기금운용본부장 역시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과 관련해 구속 수감된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과 개성고·성균관대 1년 후배다. 실제로 여의도에서는 강 본부장 인선에 안종범 전 수석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이야기가 나돌기도 했다.
이에 대해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사실 여부와 관계 없이 수장이 낙하산 인사라는 지적은 조직 내부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며 “전국민의 노후를 책임지는 국민연금인 만큼 이를 관리하는 인사에 대한 외부 입김을 차단할 수 있는 시스템이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hms@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