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감원, ‘무료 금융자문서비스’ 확대···온라인 프로그램 도입

금감원, ‘무료 금융자문서비스’ 확대···온라인 프로그램 도입

등록 2017.07.26 17:24

차재서

  기자

공유

사진 = 금융감독원 제공사진 = 금융감독원 제공

금융감독원이 사회초년생과 주부, 노인 등의 합리적인 금융생활을 지원하는 무료 맞춤형 금융자문서비스를 확대한다고 26일 밝혔다.

그 일환으로 금감원은 ‘온라인 간편금융자문서비스’를 도입한다. 소비자가 모바일 등 온라인을 통해 소득·지출 내역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재무상황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 서비스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한 강의와 대면상담 행사를 통한 1대1 맞춤형 재무상담을 제공하는 ‘머니콘서트’도 상반기에 이어 개최한다. 아울러 노후행복설계센터, 사랑방버스, 금융박람회 등 각종 금융행사 등을 통해서도 금융취약계층 재무상담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그간 금감원은 소득·지출관리를 통한 부채관리, 저축·투자 등 자산증식 방법, 은퇴·노후준비 등 주제별 재무상담 뿐 아니라 결혼·양육·은퇴 등 생애주기별 재무관리 관련 상담을 제공해왔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의 경우 총 상담건수는 720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0건 증가했다. 전화상담이 6198건(86.0%)으로 주를 이뤘고 방문 상담은 120건(1.7%), 온라인 상담(PC, 모바일)은 886건(12.3%)이었다.

유형별로는 부채관리 관련 상담이 2723건(37.8%)으로 가장 많았고 금융피해 예방·보호(1547건), 보험(827건), 저축·투자(707건), 지출관리(281건), 노후소득원(372건), 생활세금(165건) 순으로 뒤를 이었다.

상담연령은 20대~80대까지 연령층이 다양했지만 경제활동 연령대(30~50대)의 상담비중이 89.7%(6461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20대는 학자금대출 상환, 결혼자금 마련 등 소득·지출관리 상담이 주를 이뤘고 30~40대는 자녀학자금·주택마련 등으로 발생한 부채관리, 50대 이후는 연금·노후·은퇴에 관심을 보였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자문서비스를 통해 부담 없이 금융전문가에게 재무상담을 받고 부채관리·노후설계 등 다양한 재무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질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