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 서울 7℃

  • 인천 8℃

  • 백령 8℃

  • 춘천 5℃

  • 강릉 7℃

  • 청주 7℃

  • 수원 10℃

  • 안동 10℃

  • 울릉도 8℃

  • 독도 8℃

  • 대전 8℃

  • 전주 6℃

  • 광주 9℃

  • 목포 10℃

  • 여수 10℃

  • 대구 7℃

  • 울산 11℃

  • 창원 8℃

  • 부산 13℃

  • 제주 15℃

협상 재개하는 현대차 노사··· 강성 집행부·통상임금 파고 넘을까

협상 재개하는 현대차 노사··· 강성 집행부·통상임금 파고 넘을까

등록 2017.10.23 14:32

김민수

  기자

공유

새 노조 집행부 출범 후 24일 첫 협상 테이블기본급 인상·성과급 확대·통상임금 등 격돌 예고“경영 위기 반영”vs“예년 수준 유지” 주장 팽팽‘강성’ 새 집행부 성향상 조기 타결 쉽지 않을 듯

협상 재개하는 현대차 노사··· 강성 집행부·통상임금 파고 넘을까 기사의 사진

현대자동차 노사가 한 달 만에 임금 미 단체협약 교섭 테이블에 마주앉는다. 지난 20일 출범한 금속노조 현대차지부 7대 집행부가 사측에 24일 협상 재개를 요청했고 회사 측도 이를 받아들인 상태다.

하지만 회사 안팎에서는 여전히 협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신임 집행부가 강경파로 분류되는 만큼 협상 과정에서 이전보다 더욱 강경한 입장을 내비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앞서 현대차는 임단협 과정에서 정기호봉+별도호봉 승급(평균 4만2879원 인상), 성과급 250%+140만원 지급, 복지포인트 10만점 지급, 단체개인연금 5000원 인상 등을 제시했지만 노조 측은 임금 15만4883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순이익의 30% 성과급 지급, 주간 연속 2교대제 8+8시간 완성, 해고자 원직복직,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고용보장 합의체결 등을 요구했다.

사실 현대차 노사는 10월 신임 집행부 선거를 염두에 두고 예년보다 한 달 정도 빠른 4월 첫 상견례를 개최하며 조기 타결에 의욕을 보였다. 판매 부진에 따른 경영 악화가 현실화되는 데 따른 위기감이 반영된 결정이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양측은 협상 과정에서 평행선을 달리며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설강가상으로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시킬지 여부와 하청직원의 정규직 인정을 놓고 법적 공방까지 벌어지며 최악으로 치달았다. 결국 현대차 노조는 지난 8월 협상 결렬을 선언하고 2012년 이후 6년 연속 파업에 돌입했다.

더욱이 지난 달 29일 하부영 현대차 노조위원장이 전체 조합원의 과반수 지지로 당선되면서 상황은 더욱 복잡해졌다. ‘강성’으로 분류되는 하 신임 노조위원장은 민주노총 울산본부장을 역임했으며 기본급 위주 임금 인상, 근속수당 및 각종 수당 현실화, 국민연금과 연동한 정년 연장, 평생조합원 제도, 근속 30년 이상 조합원 유급 안식휴가 부여, 명절 및 하계휴가비 인상 등을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다.

하부영 현대자동차 노조위원장.하부영 현대자동차 노조위원장.

실제로 하 위원장은 전날 취임 후 처음으로 배포한 유인물에서 “올해 임단협과 관련해 연내 타결이라는 시간에 쫓겨 졸속합의하지 않겠다”며 “예년 수준의 임금과 성과금, 정년 연장, 해고자 복직, 손해배상 청구 소송 철회 등에 집중할 계획”이라며 정면대결을 예고했다.

아울러 새 집행부는 통상임금 확대를 새로운 투쟁 안건으로 내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법원이 ‘15일 이상 근무자에게만 정기상여금을 지급한다’는 취업규칙을 근거로 현대차의 정기상여금이 고정성이 없다며 인정하지 않았지만 지난 9월 기아차 노조의 통상임금 소송에서는 정기상여금을 통상임금으로 인정한 것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때문에 24일 노사가 협상장에 마주한다 하더라도 임단협 조기 타결을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업계 안팎의 공통된 지적이다. 일단 사측은 국내외 경영 환경이 어려운 상황에서 노조의 요구사항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노조 측 역시 새 집행부 출범 후 첫 성과물이 될 임단협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

이에 대해 업계 한 관계자는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설치로 어려움을 겪던 중국에서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해외시장에서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며 “경쟁력 저하 우려에 이어 노조 리스크까지 추가될 경우 기업 가치 하락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웨이 김민수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