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낙연 총리는 이날 서울정부청사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탄력근무제 조정방안에 대한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논의가 매듭지어지지 않은 단계에서 주 52시간 근무제 계도기간만 끝나면 현장은 매우 혼란스러울 것”이라며 “합리적 조정이 불가피해졌다”고 밝혔다.
이어 “정책 방향뿐 아니라 정책 시행과정에 국민이 겪을 불편을 최소화하는 세심한 배려까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또 이 총리는 최저임금법 시행령 개정과 관련해서도 “산업과 노동의 현장에서 매우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사안”이라며 “정부가 설명을 해드려도 현장의 우려는 좀처럼 줄어들지 못하기도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최선의 방안을 찾아낸 뒤 우려의 소지를 최소화하도록 성의를 다해 설명해 드려야겠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이 총리는 KT통신구 화재와 KTX 탈선, 강릉 펜션 가스중독사고 등에 “환경은 빠르게 변하는데 안전관리 규정은 쫓아가지 못한다”면서 “규정은 있지만, 현장에서 작동하지 않거나 지켜지지 못하며 사후 대응이 허술한 게 공통점”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 이 총리는 인도네시아 순다 해협 인근에서 발생한 쓰나미와 관련해선 “인도네시아 국민과 정부에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며 외교부에 피해 수습과 복구를 지원 방안을 검토하라고도 지시했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