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해외에서 동분서주하는 정진행 부회장

해외에서 동분서주하는 정진행 부회장

등록 2019.02.25 10:37

수정 2019.02.25 11:35

김성배

  기자

공유

중동·동남아 등 해외 수주에 올인해외 글로벌본부와 15층 함께 사용단독 대표이사 체제지만 분권형 역할‘건설 명가재건’ 목표 세우고 성과기대

해외에서 동분서주하는 정진행 부회장 기사의 사진

“국가에서도 외치는 대통령이, 내치는 총리가 맡는 등 분권형 체제가 있다. 현대건설도 해외건설 수주 등 해외사업은 정진행 부회장이 힘을 쓰고, 내부 경영을 박동욱 대표이사가 주력하며 역할을 나눌 수 있다”(현대건설 관계자)

정진행 현대건설 부회장이 사내이사나 대표이사 등 자리에 연연하지 않은채 해외수주 공략에 나서며 동분서주하고 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정 부회장이 지난해 연말 친정인 현대건설로 옮겨올 때만해도 기존 박동욱 대표이사 사장과 공동대표 체제가 예상되기도 했다.

그러나 오는 3월 주주 총회에 안건에서 정 부회장의 대표이사나 사내이사 선임안건이 오르지 않으면서 현대건설은 박동욱 원톱 체제로 방향을 잡았다. 이동 당시 사내 위상과 역할에 대해 여러 얘기가 나왔지만, 회사측은 정 부회장이 해외사업 등에 올인하고 박 대표는 내부 경영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최근 현대건설 해외수주가 바닥을 헤매는 등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현대차그룹 실세 사장 출신으로 해외 네트워크가 강한 정 부회장이 해외에서 강점을 드러낼 것이라는 게 주변의 평가다.

2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친정인 현대건설로 복귀한 정진행 부회장이 대표이사나 사내이사 등 이사회엔 참여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동욱 현대건설 사장이 종전대로 단독 대표이사인 동시에 이사회 의장직을 맡는 등 원톱 체제로 가닥을 잡은 셈이다.

실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오는 3월 15일 현대건설 주주총회 안건에 새 사내이사 선임 안건이 없는 등 정진행 부회장의 이름을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동욱 사장은 종전대로 단독 대표이사이자 이사회 의장으로 현대건설을 이끌 예정이다. 박 사장과 함께 이원우 플랜트사업본부장(부사장), 윤여성 재경본부장(전무)이 사내이사로 그대로 유지된다.

그렇다고 해서 정 부회장의 역할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정 부회장은 연초부터 이라크 등 중동을 비롯해 베트남 미얀마 인도네시아 등 해외 발주처 국가를 누비며 현장점검과 수주지원 활동 등에 나서며 건설 명가 재건을 위해 발로 뛰고 있다.

무엇보다 최근 현대건설 해외건설 수주가 급감하는 등 해외 사업이 예전만 하지 못하다는 평가가 대두되면서 해외 네트워크가 강한 현대차 출신 정 부회장의 활약을 안팎에서 기대하고 있어서다.

실제 최근 현대건설 해외건설 수주 성적표는 초라하기 그지없다. 현대건설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액은 13억990만달러로 전년대비(21억 9184억달러)달러로 무려 40%이상 급감했다.

올해도 나이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연초부터 이날 현재까지 해외건설 수주액이 1000만달러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업계 20위권 밖에서 헤매고 있어서다.

현대건설 해외사업이 바닥을 기고 있는 만큼 올해 정 부회장의 활약을 기대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대표이사나 사내이사 직함이 없는 그이지만 박동욱 대표이사보다 사내 직급이 높고 회사 어른으로서 누구보다 의욕적으로 해외건설 수주 등에 나서고 있다.

그가 연초부터 중동이나 동남아시아 등 해외 현장 출장을 비롯해 최근엔 현대건설 해외수주를 담당하는 조직인 글로벌마케팅 본부를 자신의 집무실이 있는 계동 사옥 15층으로 옮기는 등 해외건설 강화 체비를 갖추고 있다.

기존 15층에 있던 전략추진사업부(옛 기획실)는 5층으로 내려가며 사무실을 맞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안팎에선 그가 대표이사 등 감투는 없지만 현대차 중남미지역본부장, 기아차 유럽총괄법인장, 기아차 아태지역본부장, 현대차 전략기획담당 사장 등 풍부한 해외 경험으로 건설 명가 재건 등 활약을 기대하고 있다.

실제 현대건설은 올해 해외 수주 목표(현대엔지니어링 포함)를 지난해보다 85% 가량 많은 13조1000억원으로 설정하기도 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에서 활약했던 정진행 부회장이 실제로는 현대건설 출신으로 친정에 적지 않은 애정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대표이사 등 직함을 보유하기 어려워졌지만, 그룹에서의 경험과 타이틀만으로도 해외를 비롯해 국내에서도 의미있는 성과를 낼 수도 있다”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