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KEB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공공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의 ‘국내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소비 트렌드 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간(1998~2018년) 우리나라 인구의 평균 연령은 32.3세에서 41.7세로 늘었다. 이어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14.3%로 유소년 인구 비중(12.8%)을 초과하는 등 인구구조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30대 이하 가구주 비중이 1990년 57.3%에서 2015년 19.3%로 감소하고 50세 이상 가구주는 15.2%에서 56.3%로 증가했다.
그 여파에 식료품 구입은 줄고 외식 지출은 늘어났다는 게 연구소의 진단이다. 실제 1990년 식료품 구입 비용(비주류 음류 포함)은 전체 가구 소비 지출에서 가장 비중이 높은(26.6%) 항목이었으나 2018년엔 14.0%로 절반 가까이 감소했다. 반면 외식·숙박 지출 비중은 1990년 8.2%에서 2018년 14%로 증가했다.
또한 출산율 감소, 만혼·비혼 추세는 교육비 지출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가구의 교육비 부담은 사교육비의 증가로 1990년 8.2%에서 2009년 13.8%까지 상승했으나 최근 그 비중이 7.2%(2018년 기준)까지 내려왔다.
앞으로도 만혼·비혼과 출산율 감소가 지속될 전망이라 가구주 연령이 20~30대인 가구에서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의료비 부담은 늘어나는 추세다. 2018년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60세 이상 가구주가 1990년 대비 8배 이상 증가하는 등 고령인구 급증으로 보건관련 지출 비중은 1990년 6.3%에서 2018년 7.3%로 증가했다. 60대 이상에서는 7.1%에서 11.3%로 상승폭이 가장 컸다.
교통비는 전체 소비 지출에서 13.3%를 차지하고 있다. 식생활(외식·식료품)과 주거 비용을 제외한 항목 중 가장 높다.
이밖에 근로자와 자영업자 가구의 월평균 소득 격차도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1990년엔 자영업자 가구(89만2000원)와 근로자 가구(89만2000원)의 월평균 소득이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올 2분기엔 격차가 월 145만원까지 벌어졌다.
이와 관련 황선경 수석연구원은 “향후 60~70대 인구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소비 지출에서 의료·보건관련 지출 비중은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