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 서울 4℃

  • 인천 1℃

  • 백령 5℃

  • 춘천 -1℃

  • 강릉 5℃

  • 청주 2℃

  • 수원 2℃

  • 안동 1℃

  • 울릉도 8℃

  • 독도 8℃

  • 대전 1℃

  • 전주 3℃

  • 광주 1℃

  • 목포 5℃

  • 여수 8℃

  • 대구 3℃

  • 울산 7℃

  • 창원 6℃

  • 부산 7℃

  • 제주 7℃

금융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경제성장 모멘텀 약화···성장률 3% 하회 예상”

금융 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경제성장 모멘텀 약화···성장률 3% 하회 예상”

등록 2021.10.07 09:25

임정혁

  기자

공유

2022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 발간재정·통화 정책 지원 축소와 수출 경기 둔화 영향정부 가계부채 대응 적절···부담 증가 위험도 존재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경제성장 모멘텀 약화···성장률 3% 하회 예상” 기사의 사진

코로나19 여건 개선으로 내수 중심의 회복세가 지속되겠지만 재정·통화 등 정책 지원 축소와 수출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경제 성장 모멘텀이 약화돼 내년 성장률은 3%를 하회할 전망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지속가능성, 중국의 패러다임 전환과 규제 리스크, 국내 가계부채 누증과 금융불균형 우려 등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해석이다.

하나은행 소속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7일 ‘2022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내놓고 이같이 내다봤다.

보고서는 2022년 국내 경제가 코로나19 확산 여건이 개선되는 가운데 내수 회복 확대 등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3.9%(추정)의 견조한 성장에 이어 내년에도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가겠지만 성장 모멘텀은 약화되며 경제성장률은 2.8%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V자 반등 이후 기저효과 소멸 속에 정책지원 축소와 수출경기 둔화 등에 따라 경제 성장 모멘텀이 점차 약화될 것이란 판단이다.

이 가운데 시중금리는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기조 지속과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등으로 상승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원/달러 환율의 경우 달러화 강세와 비우호적 수급 환경 등의 영향으로 상승압력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방역조치 완화 속에 서비스 소비 향상과 해외여행의 점진적 재개에 따른 해외소비 회복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며 3.3%(올해 3.1% 추정)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 역시 양호한 주택수요와 수주증가를 비롯해 정부의 주택공급 확대 계획 등에 힘입어 회복세가 확대되며 증가율이 2.7%(올해 0.6% 추정)로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설비투자는 IT 부문의 전략적 투자와 비IT 부문의 친환경 관련 투자가 이어지겠지만 자금조달비용 상승과 반도체 경기둔화 우려 속에 조정압력이 나타나며 증가율은 3.0%(올해 9.3% 추정)로 둔화될 것으로 판단했다.

수출(통관 기준)의 경우 글로벌 경기회복세 지속과 디지털·그린 경제 확산으로 증가세는 이어지겠으나 기저효과 소멸 속에 주요국의 경기고점 통과 가능성과 수출단가 하락 등으로 모멘텀이 약화되며 증가율은 2.0%(올해 22.2% 추정)로 크게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하나금융연구소 정유탁 연구위원은 “방역조치 완화에 힘입어 내수를 중심으로 양호한 성장세가 예상되지만 재정·통화 등 코로나 대응책 축소와 수출경기 둔화 등을 감안할 때 성장 모멘텀은 점차 약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경제활동 재개 가속화에 따른 서비스 물가 상승과 공공요금 인상 가능성 등에 따라 상승세는 이어지겠지만 역기저효과와 유가 상승세 완화 등을 감안할 때 1.6%(올해 2.1% 추정)로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경기회복과 금융불균형 누증을 감안해 기준금리가 올해 4분기와 내년 3분기에 추가로 인상되면서 2022년에는 코로나 위기 이전 수준인 1.25%로 복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런 상황에서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가 진행되면서 시중금리는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김수정 수석연구원은 “금융불균형 완화를 위한 국내 정책당국의 의지와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따른 연준의 조기 긴축 우려가 부상할 수 있어 금리 상승세가 가파르게 전개될 가능성도 염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달러 환율은 주요국 중 가장 매파적인 통화정책과 양호한 대외건전성 등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제의 성장 모멘텀 둔화, 해외투자 확대 기조 및 외국인 자금유입의 불확실성 등 비우호적 수급환경이 이어지면서 상승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지속 가능성, 중국의 패러다임 전환 및 규제 리스크, 국내 가계부채 누증 및 금융불균형 우려 등을 3대 리스크 요인으로 평가했다.

우선 최근 정책·수요·공급측 요인들이 맞물리며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는 가운데 특히 공급측 불안요인에 따른 인플레이션 리스크를 강조했다.

부품·소재나 선박의 경우 특성상 신속한 공급 개선이 어려운 데다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의 에너지가격 불안, GVC 약화에 따른 비용 상승 등 구조변화 과정에서의 부작용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중국의 질적 경제성장 추진 및 공동부유 강조 속에 규제 리스크에 따른 불확실성도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불균형 문제 해결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규제 강화로 성장이 제약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부동산 규제 강화에 따른 경기 위축, 부동산 개발업체 디폴트 우려, 지방정부의 부채 부실화 등 위험을 강조했다.

특히 보고서는 국내 가계부채 누증에 따른 파급효과와 정책 딜레마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실증분석 결과 가계부채 증가는 가계소비에 부정적이며 주택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이후 그 영향력이 확대된 것으로 진단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의 가계부채 대응은 시의적절하나 자칫 급격한 디레버리징(부채줄이기)을 촉발하거나 가계 부담 증가로 정책 정상화가 어렵게 될 위험도 존재한다고 평가했다.

뉴스웨이 임정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