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3일 금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문승욱 산업장관 “항공·우주산업 지원 강화해 국가전략 분야로 육성”

문승욱 산업장관 “항공·우주산업 지원 강화해 국가전략 분야로 육성”

등록 2022.01.14 11:12

주혜린

  기자

공유

문승욱 산업장관 “항공·우주산업 지원 강화해 국가전략 분야로 육성” 기사의 사진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4일 “도심항공교통(UAM), 드론 등 신(新) 항공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우주 산업에서 민간기업의 역할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문 장관은 이날 서울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및 한국항공우주학회 주관으로 열린 ‘2022년 항공우주인 포럼’에 참석해 “우주·항공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행사에는 문 장관을 비롯해 안현호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대표, 신현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대표 등 산·학·연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해 항공·우주산업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국내 항공산업은 1980년대 단순 조립·생산 단계에서 현재는 세계 6번째 초음속기(T-50) 수출국, 11번째 헬기(수리온) 개발국으로 발전했다.

국내 생산액은 2000년부터 연평균 9.5%의 고속성장을 거듭하며 2019년 60억달러를 달성했다. 그러나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전년 대비 18.7% 줄어든 49억달러에 머물렀다.

2020년에는 항공산업의 생산액과 수입액을 합친 시장 규모도 전년보다 25.2% 줄었지만 작년부터 감소폭이 줄어드는 추세다.

정부는 항공 제조업 분야를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하고 상생협력보증제도를 수립해 시행하는 등 항공산업 지원에 나섰다.

업계도 항공기 여객수요 감소를 항공 화물수송으로 대체하고 구조조정보다는 유급휴직, 직업훈련 등을 실시하는 등 난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문 장관은 “우주·항공산업은 자본과 기술의 진입장벽이 높지만, 진입에 성공할 경우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기술집약 산업"이라면서 "우주·항공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핵심부품 분야의 경쟁력 확보, 신 항공산업 지원 강화, 우주 산업에서의 민간기업 역할 확대 등과 같은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문 장관은 UAM과 관련해 해외 진출, 군 수요 창출, 무인기 개발 등 동시다발적인 전략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 제트기급(1만lbf 이상) 첨단엔진 개발의 경우 오랜 시간과 많은 예산이 들지만, 항공 분야를 넘어 기계산업 전 분야로의 파급 효과가 큰 만큼 관계부처와 관련 사업 추진을 적극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문 장관은 “항공·우주산업의 대전환기를 맞아 선도국가로 도약하려면 민·관의 혁신적인 노력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면서 “민간의 경쟁력이 곧 안보 경쟁력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힘을 모아달라”고 강조했다.

뉴스웨이 주혜린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