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정기결산 시즌 '상폐주의보'···"감사의견 비적정 유의"

정기결산 시즌 '상폐주의보'···"감사의견 비적정 유의"

등록 2022.02.09 17:42

박경보

  기자

공유

상폐기업 30% 정기결산 관련···올해 26개사 상폐여부 결정사외이사·감사위 규정 미충족해도 관리종목 지정·상폐 가능주총 분산 개최하면 불성실공시 벌점 감경 등 인센티브 부여

표 제공=한국거래소표 제공=한국거래소

한국거래소는 정기결산 시즌에 맞춰 12월 결산법인 및 투자자들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최근 5년간 정기결산과 관련해 상장폐지된 곳은 전체의 30%에 달하고, 상장폐지 사유 1위는 '감사의견 비적정'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감사보고서는 투자판단에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시장조치(관리종목지정‧상장폐지‧매매거래정지 등)를 수반할 수 있다. 상장사는 외부감사인으로부터 수령한 즉시 감사‧사업보고서를 공시해야 하고, 정기 주총 1주 전까지 주주에게 이 보고서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결산 시즌에는 투자 관련 중요정보가 집중돼 예상치 못한 투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경영 안정성이 미흡하거나 재무상태가 좋지 않은 기업에 투자할 경우 주의해야 한다는 게 거래소의 설명이다.

한편 최근 5년간 상장폐지 가운데 기업 중 결산 관련 상장폐지 기업(45사)은 29.6%를 차지했다. 지난해 전체 상장폐지 기업 대비 비중은 전년(38.7%) 비해 10.5%p 감소한 28.2%로 나타났다.

결산관련 상장폐지 기업 수는 상장폐지 제도 개선으로 상장폐지 유예법인이 증가한 2019년도를 제외하고 평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 5년간 결산 관련 상장폐지사유 중 '감사의견 비적정'(39사‧86.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사업보고서 미제출(4사‧8.9%)'이 뒤를 이었다. 코스피(80.0%)와 코스닥(85.4%) 모두 감사의견 비적정이 가장 큰 상장폐지 사유였다.

2020 사업연도 감사의견 비적정으로 상장폐지가 유예된 상장 기업 26사(코스피 4사, 코스닥 22사)는 21사업연도 감사의견에 따라 상장폐지 여부가 결정될 예정이다.

또 상법이 정한 사외이사 비율 등을 충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관리종목 지정 또는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할 수 있다. 상장법인은 의무적으로 이사 총수의 4분의 1 이상(자산총액 2조원 이상인 상장법인은 3명 이상이면서 이사 총수의 과반수)을 사외이사로 선임해야 한다.

감사위원회를 구성하지 않거나 감사위원회 구성 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경우에도 관리종목 지정 또는 상장폐지 사유에 해당할 수 있다. 상법은 자산총액 1000억원 이상인 상장법인은 상근감사를 1명 이상 의무적으로 선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기 주주총회의 정족수 미달로 인해 상장규정상 지배구조 요건 등을 미충족했지만 이를 소명하고 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 관리종목 지정을 피할 수 있다. 주주의 의결권 행사 편의를 위한 전자투표제도를 의무적으로 시행해야 하고, 상장규정 시행세칙이 정한 주총 개최 노력을 최소 하나 더 이행하는 조건이다.

끝으로 불가피하게 주총 집중일에 주총을 개최할 경우 주총소집통지서 발송(소집공고 포함)시 그 사유를 신고해야 한다. 주총을 분산 개최한 상장법인에게는 불성실공시 벌점 감경, 공시우수법인 평가 가점 등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공시우수법인으로 선정될 경우 상장수수료가 1년간 면제되고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유예(3년내 1회)된다.

거래소 관계자는 "감사보고서 제출관련 외부감사인 등과의 협조체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감사보고서에 대한 신속한 공시유도 및 감사의견 비적정 기업에 대한 적시 시장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