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전북·광주은행, '예대금리차 톱' 불명예···김기홍 JB금융 회장, 국감 앞두고 긴장

금융 은행

전북·광주은행, '예대금리차 톱' 불명예···김기홍 JB금융 회장, 국감 앞두고 긴장

등록 2022.09.21 15:01

차재서

  기자

공유

전북은행, 예대금리차 5.66%p로 부동의 1위 광주은행도 4.39%p로 상위권···전월比 1%p↑여당도 예의주시···JB금융 국감 소환 가능성

사진=JB금융지주 제공사진=JB금융지주 제공

JB금융그룹이 높은 수준의 '예대마진'으로 또 다시 도마에 올랐다. 8월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수신금리 차이) 비교공시' 결과 핵심 계열사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이 나란히 상위권에 랭크되면서다.

특히 전북은행은 2개월 연속 '1위'를 유지했는데, 10월 국정감사에서 국회가 이 문제를 짚고 넘어갈 전망이라 JB금융 측 속내가 복잡해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연합회가 20일 발표한 은행 예대금리차 비교공시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취급 기준 가계예대금리차(기업 제외)가 가장 큰 곳은 전북은행(5.66%p)이었다. 또 광주은행은 4.39%p로 인터넷전문은행 토스뱅크(4.76%p)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그간 업계에선 은행별 예대금리차 공시 제도 시행 이래 두 번째로 공개된 이번 수치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무엇보다 첫 공시에서 경쟁사 대비 높은 금리차에 지적을 받은 특정 은행이 한 달간 이를 만회했을지 여부가 주된 관심사였다.

하지만 반전은 없었다. 전북은행은 여·수신 금리차를 8월의 6.33%p보다 0.67%p나 낮췄음에도 여전히 상당한 규모의 예대마진을 챙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광주은행의 금리차는 16개 은행 가운데 전월 대비 증가폭(1%p)이 가장 컸다.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물론 지방은행으로서는 예대금리차를 줄이기가 쉽지 않다는 게 업계의 정설이다. 중·저신용자 대출이나 '햇살론뱅크' 등 서민금융진흥원 연계대출 취급 비중이 시중은행에 비해 큰 탓이다. 금융지주 측에서도 주요 주주의 목소리를 반영해 은행 수익률에 각별히 신경을 기울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문제는 모든 지방은행의 예대금리차가 전북·광주은행만큼 크지는 않다는 점이다. 일례로 BNK금융의 부산은행은 1.49%p, 경남은행은 1.25%p로 ▲신한은행(1.65%p) ▲우리은행(1.57%p) ▲KB국민은행(1.43%p) ▲하나은행(1.12%p) 등과 비슷했다. 다른 경쟁사인 DGB대구은행은 2.28%p다.

정책서민금융 상품 취급 실적을 뺀다고 해서 전북·광주은행의 예대금리차가 눈에 띄게 줄어드는 것도 아니다. 이달부터 은행연합회는 '착시효과' 방지 차원에서 ▲햇살론뱅크 ▲햇살론15 ▲안전망대출Ⅱ 등을 제외한 수치를 함께 공시토록 했는데, 그럼에도 전북은행(4.80%)과 광주은행(4.10%)의 예대금리차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그룹 차원의 대응이 미진했던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있다. 일부 은행을 중심으로 대출금리를 낮추고 고금리 수신 상품을 판매하는 등의 노력이 이어지는 와중에도 전북·광주은행에선 이렇다 할 움직임이 없었다는 이유에서다. 이처럼 인위적인 조정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보조를 맞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는 다음달 막을 올리는 국감에서도 화두로 떠오를 전망이다. 현 정부 들어 도입된 제도인 만큼 정무위 소속 여당 의원을 중심으로 금융회사의 '이자 장사'를 추궁하려는 분위기가 속속 감지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27일 전체회의에서 김기홍 JB금융 회장과 서한국 전북은행장, 송종욱 광주은행장 등 그룹 경영진을 국감 증인으로 채택할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덧붙여 김기홍 회장은 올 상반기 현직 금융사 CEO 중 가장 많은 10억9100만원의 보수를 받아 시선을 모으기도 했다. 10억8200만원을 수령한 송종욱 광주은행장도 마찬가지다. 이밖에 여당과 금융당국은 태양광 부실 대출 건으로도 전북은행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예대금리차 공시 제도의 실효성을 놓고 여전히 업권 내 이견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민감한 수치로 꾸준히 거론되는 것도 바람직하진 않다"면서 "전북·광주은행과 같은 지방은행 역시 개선하려는 의지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전북은행 측은 어떠한 입장도 내놓지 않았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