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부동산 이창호 KCC건설 대표, 위기 구원투수로

부동산 건설사 건설 새얼굴

이창호 KCC건설 대표, 위기 구원투수로

등록 2023.05.09 09:11

수정 2023.09.06 10:03

서승범

  기자

공유

재무전문가 이 대표, 실적·재무 악화 해결 숙제이렇다 할 미래먹거리 찾기도 고민거리로 추가

이창호 부사장이 KCC건설의 구원투수로 나섰다. 정몽열 회장과 함께 지휘봉을 잡게 된 것.

KCC건설은 정몽열·윤희영에서 정몽열·이창호 대표체제로 변경됐다고 지난달 24일 공시했다. 기존 전 윤희영 대표이사는 임기 만료에 따라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 부사장이 KCC건설의 구원투수로 나서게 된 것은 사내 '재무전문가'로 손꼽히는 인물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964년생인 이 대표는 1990년에 KCC건설에 입사해 재무와 회계 파트를 담당한 재무전문가다.

현재 KCC건설의 상황은 녹록치 않다. KCC건설은 지난해 7년만에 적자를 기록했다. 2020년 543억원을 기록했던 영업이익은 2021년 318억원으로 줄었고 2022년에는 결국 -10억918만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이는 원자재값·인권비 상승 등에 기인한 것으로, KCC건설의 원가율은 97%에 달해 업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전부터 낮았던 영업이익률은 결국 지난해 마이너스(-0.06%)를 기록했다. 이는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비슷한 서희건설과(14.33%)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시평이 더 낮은 SGC이테크건설(2.18%), 아이에스동서(15.14%) 등보다도 차이가 난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은 -782억원을 기록했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은 기업이 주요 수익창출활동을 하면서 발생하는 현금의 유입 및 유출을 뜻하며 기업의 현금창출력을 판단할 때 활용된다.

부채비율도 단기차입금 증가로 146.2%에서 165.8%로 늘어났다. 건설업종 부채비율로는 위험수준은 아니지만, 이익이 줄어든 상황에서 부채가 늘어난 것은 향후 부담이 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이 대표는 KCC건설의 미래먹거리에 대한 고민도 짊어지고 있다. 대형건설사들은 물론 중견건설사들도 건설관련 친환경 사업과 아예 새로운 방향으로 먹거리를 찾고 있는 가운데 KCC건설은 이렇다 할 신규 먹거리가 없어서다.

앞서 건설엔지니어링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하고 건설사업관리분야로 영역 확대한 정도다. 이마저도 가시화되려먼 시일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앞서서는 도시정비사업 확대로 매출 및 이익 확대를 꾀하겠다는 복안을 밝혔다. 하지만 이마저도 도시정비사업은 대형건설사들의 전유물이 된 실정이고 소규모정비사업도 호반건설, DL건설, 코오롱글로벌, 계룡건설 등 강자들이 이미 자리해 있는 상태다.

건설사 한 관계자는 "투자 없이는 신사업 발굴은 어려운 상황이다. 건설관련 신사업은 대부분 대형건설사들이 이미 나서 레드오션이 됐다"며 "중견사들 경우 자신들의 강점을 바탕으로 미래먹거리를 꾸려야 그나마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태그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