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6월 말 기준 55조8000억원으로 금융권 총자산(6762조5000억원) 대비 0.8% 수준으로 집계됐다.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의 4분의 1은 내년에 만기가 도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업권별로는 보험이 31조7000억원으로 전체의 56.8%를 차지했고, 은행 9조8000억원(17.5%), 증권 8조3000억원(15.0%), 상호금융 3조7000억원(6.7%), 여전사 2조1000억원(3.8%), 저축은행 1천억원(0.2%) 등의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5조8000억원(64.2%)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 11조원(19.6%), 아시아 4조2000억원(7.4%), 기타 복수지역 4조9000억원(8.7%) 수준이었다.
만기가 도래하는 투자는 내년까지 14조1000억원(25.4%), 2030년까지 43조8000억원(78.6%)으로 조사됐다.
금감원은 상반기 기준 금융회사가 단일 부동산 사업장에 투자한 35조9000억원 중 3.7%인 1조3300억원 수준이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기한이익상실은 선순위 채권자에 대한 이자·원금 미지급, 자산가치 하락에 따른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조건 미달 등의 사유로 인해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
EOD 발생 규모는 오피스가 570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호텔 2500억원, 상가 1300억원 등이었다.
같은기간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자산 중 유가증권(45조7000억원)의 누적평가손익은 -2.36%였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시장 위축이 장기화하면 금융사 손실이 확대될 수 있으나 국내 금융사가 해외 부동산에 투자한 규모가 총자산의 0.8%로 크지 않고, 기간별 만기도래 규모도 고르게 분포돼 있어 특정 시점에 손실이 집중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개별 투자내역별로 밀착 점검해 손실흡수능력 확충 유도 등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안윤해 기자
runhai@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