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01일 수요일

  • 서울 20℃

  • 인천 21℃

  • 백령 17℃

  • 춘천 22℃

  • 강릉 16℃

  • 청주 21℃

  • 수원 21℃

  • 안동 20℃

  • 울릉도 12℃

  • 독도 12℃

  • 대전 20℃

  • 전주 19℃

  • 광주 15℃

  • 목포 16℃

  • 여수 15℃

  • 대구 18℃

  • 울산 15℃

  • 창원 19℃

  • 부산 16℃

  • 제주 15℃

ESG경영 식품업계 ESG 현주소, '낙제점' 받은 기업 봤더니

ESG경영 ESG일반

식품업계 ESG 현주소, '낙제점' 받은 기업 봤더니

등록 2023.11.06 08:01

김제영

  기자

농심·오뚜기, C등급→B+등급···지배구조 개선 작년과 비교해 상·하위권 기업 간 편차 여전

2023년 한국ESG기준원 ESG 평가2023년 한국ESG기준원 ESG 평가

식품업계의 ESG경영 추구는 세계적인 트렌드다. 코로나 이후 환경오염·이상기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노력이 중시되고 있다. 식품기업은 친환경 포장재나 온실가스 저감, 사회공헌 활동과 경영의 투명화 등을 통해 ESG경영을 강화하는 추세다.

ESG경영은 기업의 이미지를 좌우하기도 한다. 실적과 같은 재무적 성과가 아닌 환경·사회·지배구조적인 측면에서 기업이 추구하는 가치와 사업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어서다. 식품은 특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소비재인 만큼 '착한' 기업이 되기 위한 ESG경영은 필수적이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3대 ESG평가기관 중 하나인 한국EGS기준원은 지난달 올해의 기업별 ESG평가 등급목록을 공개했다. 한국EGS기준원은 매년 3월부터 지배구조에 대한 평가를, 5월부터 환경·사회에 대한 평가를 수행해 기준위원회를 통해 10월 등급을 부여·공표한다.

ESG등급은 S등급부터 D등급까지 총 7등급으로 분류된다. 올해 공개된 통합등급 현황에서 상위 등급인 S등급과 A+등급에 이름을 올린 식품기업은 없었지만 우수하거나 양호하다고 평가되는 A등급과 B+등급에는 다수의 식품기업이 포진했다. 그러나 상·하위 기업의 분포는 작년과의 변화가 크지 않다. 상위 기업은 꾸준히 상위에, 하위 기업은 여전히 하위에 위치했다.

라면 3사 중 농심과 오뚜기는 작년 통합 C등급에서 올해 두 계단 오른 통합 B+등급을 기록했다. 농심은 특히 지배구조 등급이 D에서 B로 올라 등급이 상향 조정됐다. 이는 배당금을 증액하는 등 주주가치 증대를 위한 활동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오뚜기는 모든 분야에서 등급이 상승했는데, 지난해 5년간의 계열사 흡수합병이 마무리되면서 지배구조 등급이 올랐다.

반면 SPC삼립은 작년 통합 B등급에서 올해 C등급으로 하향 조정됐다. 지배구조에서 두 계단 하락한 D등급을 받은 영향이 컸다. 정확한 사유를 특정하긴 어려우나 지난해 계열사 부당지원 의혹과 노동조합 파괴 혐의 등 지배구조 리스크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풀이된다.

C등급부터는 '취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작년 통합 C등급에 이름은 올린 교촌에프앤비, 크라운제과, 샘표식품, 무학 등은 올해도 변동이 없었고, 이중에서 해태제과식품은 올해 D등급으로 떨어졌다. 또 D등급에서는 보해양조, 마니커, 대한제분 등이 작년과 그대로 유지됐다.

특히 해태제과는 사회부문에서 작년보다 등급이 한 단계 내려간 C등급을 받아 통합 D등급으로 조정됐다. 해태제과는 지난 2016년~2017년 매출을 부풀리기 위한 허위 매출을 신고한 사실이 지난 3월 특별세무조사를 통해 적발된 바 있는데, 이 과정에서 일부 거래처에 막대한 세금이 추징된 것으로 알려졌다. 해태제과는 당시 일부 직원의 일탈이라고 해명했으나 이 같은 사건 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올해 ESG등급이 조정된 이유에 대한 세부적인 자료는 이달 말 정도 각 사에 전달될 예정이다. 현재는 해당 보고서가 발급되지 않아 등급이 조정된 사유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게 기업의 공통적인 답변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ESG등급의 평가 기준 등에 대해서 기업이 정확하게 내용을 알고 있지 못 한다"면서도 "소비재 위주인 기업인 경우 친환경 제품을 만드는 등 ESG경영을 실천하기 상대적으로 수월할 수 있지만, B2C(기업 간 거래)사업이 대부분인 기업의 경우 관련 활동을 하더라도 홍보가 잘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국EGS기준원은 "(지배구조 등급에 대해)전반적인 평균이 상승하고 최상위권 기업 비율이 상승하였으나 상·하위권 편차는 더 심화 됐으며, 실질적인 지배구조 관행 개선 없이는 등급 상승이 어려움을 확인했다"며 "공개된 ESG 정보의 질적 수준 미비 등 관련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이 다수 존재해 상·하위권 기업의 편차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