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22일 '2023년 제2차 금융교육협의회'를 열고 2030 청년 세대 금융 교육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 부위원장은 "최근 청년들이 주변 제테크 성공 사례를 접하는 과정에서 장기간 이어진 저금리 기조로 레버리지 투자를 통한 단기 고수익 실현 등 장밋빛 측면만 보고 영끌, 빚투 등 리스크가 큰 형태의 금융 인식을 가지고 있다"며 "하지만 최근 물가 상승, 금리인상 등 시장 여건이 악화로 자산가치가 악화하면서 이같은 금융거래가 오히려 위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미래 국가 경제의 중심이 될 2030 청년세대의 올바른 금융습관 형성을 위해 청년 대상 금융교육을 보다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본격적으로 자산형성을 시작하는 청년층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지수는 지난해 기준 66.5점으로 OECD평균(62점) 이상이지만 낮은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그간 금융교육 방식이 단순 지식 전달 수준에 그쳐온 점을 반성하고 지식과 행동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금융교육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이날 회의에서는 2개 의결안건과 1개 보고안건이 상정됐다.
우선 '2030 청년 금융교육 강화방안'이 논의됐다. 최근 10년간 청년가구주 중 소득대비 원리금 상환비율이 30% 이상인 가구주 비율이 크게 증가하는 등 청년층의 부채상환 능력 악화가 계속됨에 따른 조치다. 금융당국은 청년층이 고수익·고위험을 추구하는 성향과 정부 수집에는 적극적인 반면 위기관리 능력이 부족하고 시장변화에 민감하다는 점에서 맞춤 교육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를 위해 ▲금융기초체력 키우기 캠페인 ▲교욱이 가장 효과적인 시점에 필요한 강의 제공(청년 도약계좌 등) ▲자영업자·소상공인·사회초년생·취약계층 등 유형별 맞춤 교육 추진 등 3가지 방안을 세웠다. 특히 처음 자산관리를 시작하는 청년층에 대해서는 재무설계에 대한 상담 수요가 크다는 점에서 '1:1 코칭 기반 재무상담'을 제공한다.
두번째 안건으로는 '금융교육협의회 운영규정'을 분기별에서 반기 1회로 조정하고, 관계기간 간 유기적 업무협조를 위해 필요시 수시 개최가 가능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금감원의 '금융교육 실적 및 위탁업무 수행계획'을 보고하고 각 기관들의 내년 '청년층 금융교육 강화' 계획을 발표했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crysta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