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연합뉴스와 자동차·배터리 업계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 16일 국내 자동차 업계를 상대로 한 설명회에서 올해 적용될 전기차 보조금 체계 개편안을 공유한 뒤 현재 의견 수렴 중이다.
조상운 기아 글로벌사업기획사업부장이 12일 오전 경기 여주시 마임비전빌리지에서 열린 '2023 기아 EV Day'에서 준중형 SUV 전기차 'EV5'와 'EV3'·'EV4' 콘셉트 카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또 보조금 산정 기준에는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가치 여부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재활용하기 쉬운 배터리 탑재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을 더 주는 방식이다. 이를 두고 국산 전기차와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는 동시에 중국산 전기차를 겨냥한 새로운 기준이 적용되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배터리 에너지 밀도와 재활용 여부에 따른 산정 방식이 현대차·기아 중심의 국산 완성차 업계에는 유리하지만, 특히 중국산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에는 불리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실제 배터리 업계는 국내 업체들이 개발에 주력하고 있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가 중국산 전기차에 들어가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뿐만 아니라 재활용성이 높다고 평가하고 있다.
개편안에는 전기차 보조금을 100% 받을 수 있는 구간이 하향 조정되는 내용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에는 전기차 가격이 5700만원 미만에서만 정부 보조금 100%를 받을 수 있었지만, 앞으로는 해당 기준 가격이 5500만원 미만으로 줄어드는 안이 유력하다.
환경부는 자동차 업계 의견을 수렴한 뒤 이달 내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개편안은 이르면 다음 달부터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뉴스웨이 임재덕 기자
Limjd87@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