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이슈플러스 국민연금, 주총 안건 반대의결권 행사 4년 만에 감소

이슈플러스 일반

국민연금, 주총 안건 반대의결권 행사 4년 만에 감소

등록 2024.02.14 09:35

김선민

  기자

공유

국민연금 주주총회 반대율 변화 추이. 사진=CEO스코어 제공국민연금 주주총회 반대율 변화 추이. 사진=CEO스코어 제공

지난해 국민연금이 투자 회사의 주주총회 안건에 대해 반대 의결권을 행사한 비중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국민연금의 반대 의결권 감소는 4년래 처음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14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서 2020∼2023년 국민연금이 의결권을 행사한 기업의 주주총회를 조사한 결과, 지난해 국민연금은 2022년(624곳)보다 3.7% 감소한 601곳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했다. 지난해 국민연금이 참여한 주총은 전년(717회) 대비 5.2% 감소한 680회였다.

국민연금이 참여한 주총에서의 안건 수는 2020년 4천494건, 2021년 4천235건, 2022년 4천345건, 2023년 4천46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국민연금의 반대율은 2018년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가의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가 도입된 이후 2020년 11.2%(503건), 2021년 11.4%(484건), 2022년 15.3%(665건) 등으로 증가세를 보이다 2023년 13.8%(560건)로 감소 전환했다.

'100% 찬성표'도 늘었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의결권을 행사한 기업 601곳 중 237곳(39.4%)의 안건에 100% 찬성했다. 2022년(35.9%)과 비교하면 3.5%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반대표를 던진 안건 중에서는 보수 한도액과 보수 규정 등 임원 보수 관련 안건의 반대율(28.6%)이 가장 높았다. 국민연금은 지난해 878건의 임원 보수 안건 중 251건에 대해 반대했다. 이는 2022년(29.3%) 대비 0.7%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이어 정관 변경(16.2%), 임원 선임(10.3%), 주식매수선택권(9.8%), 재무제표(3.3%), 자기주식 취득·소각(20.0), 합병·분할(6.3%) 등의 순으로 반대율이 높았다.

국민연금의 반대표는 대체로 줄었지만 일부 기업의 안건에는 많은 반대표가 몰렸다. 국민연금 반대율이 50% 이상을 기록한 기업은 전체의 4.7%(28곳)였다.

전체 안건 모두를 반대하는 경우도 있었다. 실제 지난해 국민연금은 세방전지 주주총회에서 오른 임원선임, 임원보수 등 안건 2개 모두에 반대표를 던졌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