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의 사법 리스크는 지난해 2월 이뤄진 카카오의 SM엔터테인먼트 인수 과정에서부터 시작된다. 인수 당시 카카오는 SM엔터 주가를 경쟁사인 하이브의 공개매수가인 12만원보다 높게 설정‧고정할 목적으로 시세조종을 벌였다는 의혹을 받았다.
김 위원장은 시세조종을 인지·가담한 게 아니냐는 의혹에 휩싸였고, 배재현 전 투자총괄대표는 같은 혐의로 지난해 11월 구속기소 됐다가 지난 3월 보석으로 풀려나 재판을 받고 있다.
최근 검찰은 김 위원장을 소환 조사하기도 했다. 20시간에 걸친 밤샘 조사에서 김 위원장은 카카오가 SM엔터테인먼트 주식을 사들이는 것에 대해 승인한 바 없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조사 8일 만에 검찰은 김 위원장에 대해 자본시장법 위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에 카카오 측은 현재 별다른 입장을 내지 않고 있고, 오는 22일 진행하는 영장 실질심사에서 법원이 영장 청구를 받아들일 경우, 그는 구속 상태로 전환돼 수사받게 된다.
이외에도 서울남부지검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드라마 제작사 고가 인수 의혹 ▲카카오모빌리티 콜 몰아주기 의혹 ▲카카오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 관계사 임원들 횡령·배임 등의 의혹까지 총 4건을 들여다보고 있다.
카카오는 현재 중요한 사업들을 앞두고 있다. 특히 카카오는 올해 전담 AI 조직 '카나나'를 꾸렸고, 연내 AI 서비스를 공개하겠다고 발표한 상황이다. 앞서, 지난해 한국형 언어모델을 공개하기로 했으나 한 차례 무산된 바 있어 이번 AI 사업에 더욱 공을 들여야 하지만, 김 위원장의 구속 갈림길에 현재로선 대외 협력에도 차질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경영 쇄신을 위해 지난해 신설된 카카오의 외부감시기구 '준법과신뢰위원회(준신위)'도 유명무실해졌다. 카카오 본체와 관계사의 준법 감시 및 내부통제 체계를 일임하는 역할이지만, 잠잠해질 기색이 없는 경영진들의 사법 리스크로 문제를 당장 해결할 수도, 묘수도 없다.
최근 준신위 첫 워크숍에서 김소영 준신위 위원장은 "카카오의 여정은 갈 길이 많이 남았지만, 진정성을 갖고 포기하지 않는다면 목표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으나, 이 역시도 카카오를 포함한 모든 관계사가 제대로 따라줘야 하는 부분이다.
계속되는 리스크에 대내·외 모두가 지쳐가고 있다. 진정한 경영 쇄신을 원한다면 인사, 조직 개편부터 지금보다 더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역풍에도 흔들리지 않는 모습 역시 필요하다. 그래야 허울뿐인 경영 쇄신이 아닐 것이다.
뉴스웨이 김세현 기자
xxia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