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2일 금요일

  • 서울 4℃

  • 인천 4℃

  • 백령 8℃

  • 춘천 2℃

  • 강릉 6℃

  • 청주 5℃

  • 수원 4℃

  • 안동 6℃

  • 울릉도 13℃

  • 독도 12℃

  • 대전 6℃

  • 전주 8℃

  • 광주 2℃

  • 목포 11℃

  • 여수 10℃

  • 대구 6℃

  • 울산 7℃

  • 창원 5℃

  • 부산 7℃

  • 제주 12℃

금융 한은, 올해 성장률 2.4% 전망···"양호한 성장흐름 변화없다"

금융 금융일반

한은, 올해 성장률 2.4% 전망···"양호한 성장흐름 변화없다"

등록 2024.08.22 13:30

박경보

  기자

공유

일시적 성장요인 소멸로 0.1%p↓···하반기 회복세 재개소비자물가 상승률 2.5%···근원물가 하향안정화 뚜렷 경상수지 흑자기조 유지···주택가격은 불확실성 확대

2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가 열리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2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가 열리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대비 0.1%p 내린 2.4%로 제시했다. 지난 1분기 깜짝 성장에 기여한 일시적 요인이 사라져 경제 눈높이가 낮아졌지만 전반적인 성장흐름에는 변화가 없다는 판단이다. 물가상승률은 하반기 중 2%대 초반 수준으로 낮아지고 내년 하반기로 갈수록 목표치인 2% 수준에 근접할 전망이다.

한은은 22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각각 2.4%, 2.5%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5월 발표한 전망치 대비 각각 0.1%p씩 떨어진 수치다.

한은에 따르면 국내경제는 수출이 상승세를 지속하고 내수도 회복 흐름을 재개하면서 올해와 내년 2%대 초중반 수준의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2분기 성장률은 전분기 깜짝성장에 기여했던 일시적 요인이 소멸되면서 내수를 중심으로 0.2%p 떨어졌다. 3분기 이후에는 수출이 증가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내수도 개선되면서 회복 흐름이 재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문별로 보면 수출은 인공지능(AI) 관련 IT 수요 확대, 방한 관광객 증가 등으로 지난 전망보다 높은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일시적 요인의 영향으로 상반기 중 크게 오르내린 내수의 경우 기업 투자여력 증대, 디스인플레이션 진전 등으로 점차 회복되겠지만 모멘텀 상승 폭은 예상에 다소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종합해 보면 올해 국내경제 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치(2.1%)에 대비 높지만 5월 전망(2.5%)에는 다소 못 미치는 2.4%로 예상된다. 다만 내년 성장률은 당초 예상에 부합하는 2.1% 수준을 나타낼 전망이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근원물가가 하향 안정 흐름을 지속하는 가운데 농산물가격도 상당폭 둔화되면서 5월 전망(2.6%)을 소폭 하회하는 2.5%로 예상된다. 내년 전망치는 당초 전망에 부합하는 2.1%로 유지했다.

한은에 따르면 근원물가는 올해(2.2%)와 내년(2.0%) 모두 지난 전망 수준에 부합할 전망이다. 내수 회복 속도가 당초 예상에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수요측 물가압력이 약한 데다 농산물가격도 양호한 작황 등으로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전망 수준을 소폭 밑돌고 올해 하반기 소비자물가 전망치는 당초 전망 대비 0.2%p 하향 조정됐다. 내년 소비자물가 및 근원물가 상승률은 모두 목표 수준으로 수렴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경상수지는 큰 폭의 흑자기조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상반기 중 경상수지 377억달러는 수출이 반도체‧자동차를 중심으로 호조를 나타낸 반면, 수입은 내수회복 지연 등으로 지난 전망을 밑돌면서 당초 예상치인 279억달러보다 크게 확대됐다. 앞으로는 상품수지가 AI 부문에서의 투자 지속 등에 힘입어 높은 흑자규모를 지속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연간 경상수지 흑자규모는 올해 730억달러, 내년에는 620억달러로 예상된다.

또 한은은 주택가격에 대해 "상하방 요인이 혼재되어 있어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최근의 매수심리 개선세와 금융여건 완화 기대감 등으로 주택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정부의 8.8 공급대책과 9월 스트레스 DSR 2단계 도입은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확대됐고, 기업 자금조달은 5월 이후 증가세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가계대출은 수도권 중심의 주택매매거래 확대, 대출금리 하락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월 5조원 수준의 증가세를 이어갔다. 늘어난 주택거래는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면서 당분간 가계대출 증가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5월 전망 이후 장기시장금리는 국내외 통화정책 기조 전환 기대가 선반영됨에 따라 큰 폭으로 하락했다. 국고채 금리 3년물은 국내외 디스인플레이션 진전, 통화정책 피벗 기대등으로 하락세를 보이다가 8월 들어 완화적인 FOMC 회의 결과, 미 고용지표 부진에 따른 미 국채금리 급락 영향으로 3.0%를 하회하는 수준으로 낮아졌다. 회사채 금리3년물도 신용스프레드가 장기평균 수준으로 축소된 가운데 우량등급AA-급의 경우 7월 중순 이후 3.5%를 하회했다.

올해 취업자수 증가규모는 20만명, 내년 16만명으로 예상보다 둔화될 전망이다. 올해 제조업은 수출 개선에 힘입어 증가세를 이어가겠지만 서비스업이 도소매 등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건설업은 건설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취업자수 감소 폭이 예상보다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취업자수는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주로 영향받아 증가규모가 완만하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노동 공급은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줄어드는 가운데 팬데믹 이후 빠르게 상승한 경제활동참가율도 조정 국면에 진입하면서 추세적으로 둔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취업자수 증가규모는 올해 20만명, 내년 16만명으로 감소세를 보일 전망이다.

중앙정부 통합재정지출은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상반기 통합재정지출은 전년 동기대비 4.9% 증가했으며, 분기별로는 지난 1분기 큰 폭 증가한 후 2분기엔 소폭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