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분기 대비 7000억원 감소한 56조3000억원금리인하 기조에도 해외부동산 시장 침체 여파 투자자산 손실 확대 가능성···당국 감독 강화
금융권별로는 보험 31조2000억원(55.3%), 은행 11조7000억원(20.7%), 증권 7조8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원(6.4%), 여전 2조1000억원(3.6%), 저축은행 1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5조2000억원(62.5%)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 10.5조원(18.6%), 아시아 3.9조원(7.0%), 기타 및 복수지역 6.7조원(11.9%)이 뒤를 이었다. 만기별로는 올해 4조6000억원(8.2%), 2030년 만기는 43조4000억원(77.0%)이다.
6월말 기준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7000억원 가운데 2조6100억원(7.50%)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지난 2분기 중 1100억원 증가해 올해 1분기 상승 폭(900억원)과 유사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국내 금융회사 투자 비중이 높은 오피스 시장을 중심으로 개선이 지연되는 등 투자자산 부실화 및 손실 확대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9월 말 기준 공실률은 오피스 20.1%, 산업시설 6.7%, 아파트 5.8%, 소매 10.3% 등이다.
다만 해외부동산 투자 잔액이 총자산 대비 규모가 크지 않고,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등을 고려할 때 투자손실이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 지난 6월 말 기준 은행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15.76%, 보험의 지급여력비율은 217.3%, 증권의 순자본비율은 759.0%다. 특히 금융권의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규모는 총 자산(7081조6000억원)의 0.8% 수준에 불과하다.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건전한 대체투자 관행 확립을 위해 대체투자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점검·개선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EOD 등 특이동향 사업장에 대해 밀착 모니터링하고 금융회사의 적정 손실인식 및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 유도 등 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해외 부동산 DB 지속 보완 및 신속보고체계 운영 등을 통해 리스크 대응체계도 고도화할 방침이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