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4일 토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 2개월···채무조정 신청 '8068건'

금융 금융일반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 2개월···채무조정 신청 '8068건'

등록 2024.12.20 14:00

박경보

  기자

공유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금융위원회는 개인채무자보호법 시행 2개월을 맞아 그간의 법 시행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반 회의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날 금융위는 그간의 법 시행 현황을 점검하는 동시에 개인채무자보호법 안착을 위한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개인채무자보호법은 대출을 연체한 이후 채무자가 겪는 전 과정에 걸쳐 채무자 보호 규율체계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며 "채무자가 재기하면 결국 채권의 회수 가치도 제고되는 만큼, 채무자와 채권자 간 '상생의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수 있도록 금융권의 적극적인 역할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법 시행 이후 지난 6일까지 금융회사들은 총 8068건의 자체적인 채무조정 신청에 대해 처리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원리금 감면이 2623건(36%)으로 가장 많았으며, 변제기간 연장(2,110건, 29%), 대환대출(1,169건, 16%)이 뒤를 이었다.

개인채무자보호법은 대출의 일부 연체 등으로 기한이익이 상실된 경우에도 기한이 도래하지 않은 채무 부분에 대해 연체이자 부과를 금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에서 총 6만1755개의 채권에 대해 연체이자를 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난, 사고 등의 경우 일정 기간 추심을 유예하도록 하는 추심유예제의 경우 총 8672건이 활용됐다. 특정 시간대 또는 특정한 수단을 통한 추심을 하지 않도록 요청할 수 있도록 해 채무자의 일상생활을 보장하고자 한 추심연락 유형의 제한 제도는 총 4295건이 활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개인채무자 보호법 시행 상황 점검반을 지속 운영해 개인채무자 보호법이 금융권 전반에 안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