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2월 11일 화요일

  • 서울

  • 인천

  • 백령

  • 춘천

  • 강릉

  • 청주

  • 수원

  • 안동

  • 울릉도

  • 독도

  • 대전

  • 전주

  • 광주

  • 목포

  • 여수

  • 대구

  • 울산

  • 창원

  • 부산

  • 제주

산업 스캇 박 두산밥캣 부회장 "고성장 경험 바탕으로 2030년 매출 16조원 달성"

산업 중공업·방산

스캇 박 두산밥캣 부회장 "고성장 경험 바탕으로 2030년 매출 16조원 달성"

등록 2025.02.11 09:26

황예인

  기자

공유

스캇 박 두산밥캣 부회장이 10일 '인베스터 데이' 행사에서 성장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두산밥캣 제공스캇 박 두산밥캣 부회장이 10일 '인베스터 데이' 행사에서 성장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두산밥캣 제공

스캇 박 두산밥캣 부회장이 전날 인베스터데이에서 2030년 연평균 11% 성장한 매출액 120억 달러(16조원)를 달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산밥캣은 전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증권사 애널리스트와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인베스터 데이를 개최했다고 11일 밝혔다. 두산밥캣이 인베스터 데이 행사를 연 것은 2016년 유가증권시장 상장 이래 처음이다.

이날 두산밥캣은 스캇 박 CEO 부회장과 조덕제 CFO 부사장이 발표자로 나서 주요 경영전략을 내놨다. 지난해 실적 리뷰 및 올해 가이던스(실적 전망)를 발표하며 주주 소통을 강화했다.

이날 스캇 박 부회장은 미래 성장전략을 제시했다. 박 부회장은 두산밥캣이 소형 건설장비 분야에서 글로벌 1위 브랜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핵심 경쟁력으로 ▲업계 최다 어태치먼트를 보유한 제품 라인업 ▲견고한 파트너십 기반의 글로벌 영업망 ▲각 권역의 수요에 최적화된 글로벌 생산 거점 ▲소형장비 시장을 개척한 혁신 DNA 등 네 가지를 꼽았다. 두산밥캣은 성숙기를 맞은 글로벌 건설장비 시장에서 기존 경쟁력을 기반으로 'M&A'와 '혁신'을 두 축으로 삼고 미래 성장을 견인한다는 계획이다.

박 부회장은 "상장 이후 규모와 수익성 모두 2배로 성장했다"며 "특히 M&A를 본격적으로 추진한 최근 5년 동안 모어(잔디깎이), 지게차 등 인접 사업분야 업체 인수를 통해 연평균 매출 15%, 영업이익은 18%씩 늘어나는 고성장을 이뤘다"고 말했다.

어어 "이 같은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기존 사업에 혁신을 더하고 M&A 등 비유기적 성장도 함께 추진해 2030년에는 연평균 11% 성장한 매출액 120억 달러(16조원)를 달성할 것"이라고 했다.

조덕제 부사장은 지난해 연간 실적과 올해 전망을 발표했다. 지난해 두산밥캣의 연간 매출액은 전년 대비 16% 감소한 62억6900만달러, 영업이익은 40% 줄어든 6억39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조 부사장은 "소형 건설장비 시장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면서 올 하반기부터 반등해 연간 수요는 전년과 비슷할 전망"이라며 2025년 연간 가이던스로 매출액은 64억달러, 영업이익 6억달러를 제시했다. 지난해보다 매출액은 2% 증가, 영업이익은 6% 감소에 해당한다.

또한 "작년 말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포함된 주주환원율 40%는 기계 업종 내 최상위 수준"이라며 "발표 당시 약속한 2000억원의 자사주 매입 완료를 앞두고 있으며 한 달 내로 소각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진행된 Q&A에서 박 부회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 관련 질문에 "인프라 투자를 강조해 온 공약이 정책으로 실현되면 건설장비 수요 관점에서 긍정적일 것"이라고 답했다. 관세 관련한 질의에는 "75%의 매출이 발생하는 북미 지역에 판매하는 장비를 미국 내에서 대부분 생산하고 있어 유리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또, 멕시코 공장 설립에 관해서는 "풍부한 노동력 등 장점이 충분히 있지만 아직 가동에 들어간 게 아니기 때문에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