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격차 여전한국은행, 맞춤형 금융교육 프로그램 확대 예고
한국은행은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2024 전국민 금융이해력'을 조사한 결과 평균 65.7점으로 집계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는 2022년 조사(66.5점) 대비 소폭 하락한 수치다.
부문별로는금융태도(53.7점)가 2022년에 비해 1.3점 상승한 반면 금융지식(73.6점)과 금융행위(64.7점)는 각각 1.9점 및 1.1점 하락했다. 금융지식 항목 가운데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 점수가 큰 폭 하락하면서 전체 금융이해력 점수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에 따르면 금융지식 점수가 떨어진 건 물가상승률 둔화에 따른 인플레이션 관심도 하락이 큰 영향을 미쳤다. 해당 항목 점수를 직전 조사인 2022년 수준으로 가정할 경우 금융이해력 점수는 66.7점(+1.0점)으로 2022년 대비 0.2점 상승했다.
응답자별로는 20대·70대, 저소득, 고졸 미만 등의 금융이해력이 취약한 가운데 특히 20대 청년층의 점수가 금융행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 우리나라 성인의 금융이해력 점수는 직전 조사인 2022년에 비해 소폭 하락했으나 세부 항목별로는 긍정적인 변화도 함께 관찰됐다.
금융지식은 특정항목을 제외하면 대체로 개선됐으며 금융행위의 경우 예산관리 및 저축 노력, 금융상품 선택 능력 등이 향상됐다.
또한 조사결과 금융지식 부문에서는 인플레이션이 실질 구매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고, 금융행위 부문에서는 재무관리 활동이 여전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태도 점수는 다소 상승했으나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은 금융·경제교육의 실효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먼저 금융지식과 관련해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고령층 등 취약계층의 교육 접근성을 제고하고 수요자의 니즈를 고려한 맞춤형 금융교육 콘텐츠를 지원한다.
또한 인플레이션, 금리 등 실생활과 밀접한 금융지식에 대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해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할 방침이다. 금융행위 부문에 대해서는 청년층 대상 1:1 재무상담 실시 및 'e-금융교육센터' 등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합리적 재무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금융교육 콘텐츠 제공을 확대한다.
금융태도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에서의 조기 금융교육을 통한 금융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을 위해 1사1교 금융교육 내실화, '금융과 경제생활' 교과목 안착을 위한 홍보 및 지원 방안을 추진한다.

뉴스웨이 박경보 기자
pkb@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