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보호서비스 2.0 적용···해외 고객 30만 우선 적용국내 고객 순차 자동 가입···당장 출국 시 문자로 통지'유심 재설정'도 이날 도입···MVNO 사업자는 미적용
류정환 SKT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은 12일 서울 중구 삼화타워에서 진행한 해킹 관련 데일리 브리핑에서 "당초 계획보다 개발 일정이 당겨지면서 오늘 새벽부터 가입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해외 로밍 고객 먼저 자동 가입을 한 뒤 오는 14일까지 전 사용자에게 확대 적용한다는 구상이다.
유심보호서비스의 해외 적용이 늦어진 건 국가별 기술적인 차이 탓이다. 류 센터장은 "국내는 망에서 획득할 수 있는 정보가 많아 이를 기반으로 구축하기 용이했는데, 해외의 경우 그렇지 않아 좀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서 "다른 기법을 활용해 로밍 고객에게도 국내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식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유심보호서비스는 고객의 단말 정보와 유심 정보를 하나로 묶어 관리함으로써, 타인이 고객의 유심 정보를 탈취해 다른 기기에서 서비스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해 주는 서비스다. 지금까지 약 2400만명의 가입자가 이 서비스에 가입했다.
고도화된 유심보호서비스는 해외 로밍 고객에게 우선적으로 적용된다. 회사에 따르면 약 30만명을 대상으로 우선 적용했다. 기존 국내 고객의 경우 순차적으로 자동 가입이 진행될 예정이다. 류 센터장은 "SKT 구성원들이 직접 해외로 나가 서비스의 안전성을 미리 확인했다"면서 "굉장히 다양한 케이스를 실험했기 때문에 안심해도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SKT는 당장 해외로 출국해야 하는 고객을 위해 로밍 서비스 가입 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여부를 문자로 통지하는 시스템도 마련했다.
지난 11일 발표한 '유심 재설정' 설루션도 이날부터 제공한다. 유심 재설정은 유심 내 인증 정보 중 일부를 소프트웨어로 변경하는 방식이다. 회사는 이 설루션이 유심 교체와 동등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다만 알뜰폰(MVNO) 고객은 설루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류 센터장은 "유심 재설정은 대리점을 방문해야 제공하는 식의 정책으로 운영 중이기 때문에 오프라인 매장이 없는 알뜰폰 사업자한테는 제공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강준혁 기자
junhuk210@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