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 서울 27℃

  • 인천 27℃

  • 백령 25℃

  • 춘천 25℃

  • 강릉 25℃

  • 청주 27℃

  • 수원 26℃

  • 안동 25℃

  • 울릉도 30℃

  • 독도 30℃

  • 대전 26℃

  • 전주 26℃

  • 광주 25℃

  • 목포 26℃

  • 여수 27℃

  • 대구 27℃

  • 울산 26℃

  • 창원 27℃

  • 부산 27℃

  • 제주 23℃

증권 삼성SDI 1.6조원 유상증자 언제 빛볼까···증권가 ESS에 주목

증권 종목

삼성SDI 1.6조원 유상증자 언제 빛볼까···증권가 ESS에 주목

등록 2025.08.01 13:59

수정 2025.08.01 14:48

유선희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삼성SDI, 1조6000억원 유상증자 추진

배터리 부문 부진 지속

ESS(에너지저장장치) 사업 확대에 주목

숫자 읽기

2분기 매출 3조2000억원, 영업손실 3979억원 기록

시장 전망치(매출 3조4000억원, 영업손실 2409억원) 크게 하회

배터리 부문 손실 4308억원

현재 상황은

주가 3.73% 하락, 19만3600원 기록

전기차 수요 둔화로 배터리 판매량 8.8% 감소

유럽·북미 고객사 수요 부진, 공장 가동률 저조

전망과 과제

ESS 사업에서 돌파구 모색

미국·국내 ESS 프로젝트 수주, 4분기 양산 시작 예정

AMPC(생산세액공제) 수혜 기대, 연내 흑자 전환 목표

핵심 코멘트

"단기 주가 상승 여력 14%로 제한적"(신영증권)

"4분기 북미 ESS 생산라인 가동, 점진적 실적 개선 전망"(미래에셋증권)

"3분기까지 적자 불가피, 4분기 흑자 전환 기대"(NH투자증권)

EV 판매 부진으로 배터리 수요 회복 지연대규모 자금 조달에도 2분기 예상치 하회ESS 사업 확장으로 연말께 실적 개선 기대

삼성SDI 1.6조원 유상증자 언제 빛볼까···증권가 ESS에 주목 기사의 사진

삼성SDI가 1조6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추진해 사업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지만 핵심 사업 영역인 배터리 부문 부진은 여전하다. 증권가에선 ESS(에너지저장장치) 생산 확대로 반등에 나서겠다는 방침에 주목하고 있다.

1일 오후 11시 26분 기준 삼성SDI는 전 거래일 대비 3.73% 내린 19만36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3개월간 최고점을 기록해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전 거래일인 지난달 31일에는 주당 21만2500원에 거래가 체결됐다.

전날 어닝쇼크 실적을 내놓은 점도 투심 악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SDI의 올해 2분기 매출은 3조2000억원, 영업손실은 397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전망치(매출 3조4000억원·영업손실 2409억원)를 크게 밑돈 수준이다. 배터리 부문 손실만 4308억원에 달했다. 공장 가동률 회복 지연과 예상보다 부진한 유럽·북미 고객 수요 탓이라는 설명이다. 삼성SDI는 올해 1분기와 2분기에도 각각 4341억원, 397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최근 삼성SDI가 1조6000억원 규모 유상증자로 자금을 수혈했지만 배터리 부문의 실적 개선을 이끌어내긴 어렵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유상증자 자금은 미국과 유럽 주요 생산 시설에 활용한다는 방침이지만 주요 고객사의 전기차 수요 둔화 영향으로 전방 상황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5월 삼성SDI의 글로벌 전기차 시장 내 이차전지(배터리) 판매량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8.8% 감소했다.

박진수 신영증권 연구원은 "유럽 주요 고객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고 있으며, 미국 또한 고객사 EV 판매 부진과 북미 공장 셧다운 영향으로 삼성SDI의 배터리 판매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며 "주요 고객들의 가시적인 물량 회복 확인이 필요해 단기 주가 상승 여력은 14%에 그치는 등 제한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 실적과 주가 수준을 고려하면 23만원선까지 오를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삼성SDI가 ESS에서 돌파구를 찾고 있는 점에 주목하는 의견도 있다. 삼성SDI는 최근 진행된 국내 제1차 ESS 중앙계약시장 입찰에서 다수의 프로젝트를 확보했다. 미국 내 전력용 ESS 프로젝트 수주 계약도 체결해 올해 4분기부터 현지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미국 스텔란티스사와 현지 합작한 공장인 스타플러스에너지의 전기차(EV)용 라인을 ESS로 전환하는 작업도 추진하고 있다. 해당 공장 가동률이 올라가면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수혜도 기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내 흑자 전환을 달성하겠다는 포부다.

김철중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올해 4분기 북미 ESS 생산라인 가동 시작으로 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며 "중장기 관점에서 북미 ESS 사업가치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저조한 가동률을 보이고 있는 스타플러스에너지 공장이 라인 운영 효율화를 통해 실적 개선과 함께 AMPC(생산세액공제) 수취 가시성이 높아졌다"며 "올해 3분기까지는 전방 수요 둔화가 이어지며 적자 기조가 불가피하지만, 4분기부터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