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 부산 '기후산업국제박람회' 참가에너지 솔루션 및 인공지능 기술 함께 선보여향후 관련 신기술 경쟁 더 심화할 것으로 전망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를 비롯한 한화큐셀, 두산에너빌리티, 고려아연 등 국내 대기업들이 지난 27일부터 이날(29일)까지 진행하는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 참가했다. 이 박람회는 국내 최대 규모의 에너지·기후·환경 분야의 종합 전시회로 한국 정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이 공동 주최한다.
이들 기업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솔루션과 한층 고도화된 AI 기술을 집중적으로 공개했다. 전 세계적으로 탈탄소 요구가 거세지고 자동화 기술이 발전하면서 두 개의 기술 융합이 산업계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포스코홀딩스, 포스코, 포스코인터내셔널 계열사와 함께 ▲탈탄소 비전 ▲수소환원제철 ▲브릿지 기술 ▲인텔리전트 팩토리 ▲에너지전환 등 통합 전시관을 운영했다. 특히 수소환원제철은 석탄 대신 수소를 활용해 쇳물을 뽑아내는 기술로, 포스코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진행 중인 핵심 전략이다. 2030년까지 상용화 기술 개발을 목표로 두고 있다.
제조업 맞춤의 AI 기술도 핵심 역량으로 내세웠다. 포스코는 이번 박람회에서 AI 기반의 스마트 고로와 4족보행로봇 등 고도화된 자동화 기술을 새롭게 선보였다. 포스코를 비롯한 국내 철강업계는 AI 기반의 공정 자동화 범위를 확장하며 생산성 극대화를 꾀하는 상황이다.
두산그룹도 각 계열사별로 주력 기술을 선보였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현재 개발 중인 380MW(메가와트)급 수소터빈 모형을 공개하고 두산퓨어셀은 친환경 수소연료전지를 비롯해 인산형연료전지(PAFC),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등 솔루션을 소개했다.
두산로보틱스는 풍력 블레이드 표면을 다듬고 검사하는 'AI 무인 블레이드 통합 관리 솔루션'과 SMR 주기기 표면을 검사하는 'AI 비파괴 검사 솔루션', AI로 용접 경로를 생성하고 작업하는 솔루션 등을 선보였다.
한화큐셀은 일반 상업용 모듈보다 내구성과 친환경성을 강화한 수상형 모듈과 국내 실증단지에 설치됐던 한화큐셀의 영농형 모듈을 전시했다. 여기에 차세대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 탠덤 셀'(이하 탠덤 셀)을 공개하며 한화큐셀의 첨단 에너지 기술 역량을 내세웠다. 탠덤 셀은 시중 실리콘 셀의 한계 효율인 29%보다 약 1.5배 높아 태양광 에너지의 경제성을 높일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시대에 발맞춰 친환경 에너지와 자동화 솔루션을 접목한 기술이 미래 경쟁력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도 관련 신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이다. 기존 사업을 넘어 미래 시장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차세대 기술 개발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AI와 탈탄소 시대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술 역량을 지속적으로 높이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황예인 기자
yee9611@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