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처테크 포럼' 환영사로 AI 발전 모델 제시"韓, 병목현상 풀어내는 테스트베드 될 것"
28일 SK그룹에 따르면 최태원 회장은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 부대행사 '퓨처테크포럼 AI'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최태원 회장은 'AI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한 환영사에서 "AI를 빼고는 비즈니스 화제가 없고, 관세 문제에서도 AI가 논의되고 있다"며 AI가 국가의 성장엔진이자 안보자산으로 꼽히는 현재 상황을 진단했다.
이어 오픈AI의 '챗GPT'를 'AI 쇼크(충격)'로 칭하며 글로벌 강대국이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자신의 기술을 전 세계에 확산하는 전략 경쟁에 나선 동향을 소개했다.
특히 최 회장은 AI를 하는지, 하지 않는지에 따라 개인·기업·국가 간의 격차가 점점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가마다 AI 해법이 다른 가운데 한국의 사례로 민관 협력 기반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등 '기술자립', 글로벌 AI 기업과의 '신뢰기반 협력'을 중요하게 꼽으며 "조화롭게 잘 가져가는 게 과제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아울러 최 회장은 신뢰기반 협력 사례로 SK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진행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구축, 오픈AI와 추진 중인 '스타게이트' 협력을 꼽았다.
또 최 회장은 AI 발전의 제약요소로 반도체·에너지 등의 부족현상을 꼽은 것을 놓고는 "한국 혼자서 다 풀어낼 수 있다고 보지는 않지만 한국은 새롭고 빠르게 적응해 병목현상을 풀어내는 테스트베드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AI가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 진화할 것"이라며 "한국이 글로벌 AI 업계의 벤치마킹 대상이 돼 AI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이날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문무홀에서 SK 주관으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는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을 주제로 이뤄졌다. 미국, 싱가포르, 페루 등 APEC 주요 참가국에서 정부·기업·학계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최 회장과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매트 가먼 AWS CEO, 최수연 네이버 CEO, 김경훈 오픈AI Korea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CEO,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등 AI 업계를 선도하는 국내외 인사들이 연사, 토론 등으로 함께했다. 글로벌 AI석학 최예진 미국 스탠포드대 인간중심AI연구소(HAI) 교수, 니틴 미탈 딜로이트 글로벌AI리더 등도 참석해 AI 생태계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는 나라마다 특화된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AI가 일상에 뿌리내리는 길이라는 데 뜻을 같이했다.
하정우 수석비서관은 기조연설에서 이재명 정부의 'AI 3대 강국 전략'을 소개하며 "전방위적으로 고품질의 특화 데이터를 확보하고 AI 고급 인재 양성을 집중 지원해 AI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AI 발전에는 기업과 국민, 글로벌 파트너의 협력이 토대가 돼야 하는 점을 강조하며 최 회장이 제시한 기술자립과 신뢰기반 협력에 공감했다.
매트 가먼 AWS CEO와 니틴 미탈 딜로이트 글로벌AI리더는 'AI와 지역 혁신의 미래'에 대해 대담을 갖고 지역균형발전에 기여하는 AI의 미래에 대한 경험과 방향을 공유했다.
최수연 네이버 CEO와 김경훈 오픈AI Korea 총괄대표,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은 소속 기업의 AI 혁신과 산업 적용 경험을 소개했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하정우 수석비서관, 김경훈 총괄대표, 최예진 교수, 니틴 미탈 리더와 APEC 국가의 AI 혁신, 윤리, 성장에 대해 30여 분간 의견을 주고받으며 AI가 APEC 공동체 발전에 기여하는 방향을 모색했다.
SK는 경주엑스포대공원 야외특별관에서 시작한 'K테크 쇼케이스'에도 참가해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SK텔레콤, SK하이닉스, SKC, SK엔무브 등의 반도체와 냉각, 운영·보안 등 AI 인프라 역량을 담았다. SK는 AWS와 함께 2027년 준공을 목표로 100MW(메가와트) 규모 하이퍼스케일급으로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을 구축하고 있다. 이달 초에는 오픈AI와 서남권에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추진하는 데 뜻을 모으기도 했다.
SK 관계자는 "전 세계 이목이 모인 2025 APEC을 계기로 마련한 퓨처테크포럼 AI에서 글로벌 AI 이해관계자와 나는 AI 발전 전략이 글로벌 AI의 미래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며 "11월 3일 SK AI 서밋에서도 SK가 추구하는 자립과 협력의 가치 창출형 AI 생태계 방향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뉴스웨이 차재서 기자
sia0413@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