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30일 목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증권 한미 3500억달러 딜에 들썩인 조선주···증권가 "장기 관점으로 접근"

증권 종목

한미 3500억달러 딜에 들썩인 조선주···증권가 "장기 관점으로 접근"

등록 2025.10.30 16:43

문혜진

  기자

공유

AI한입뉴스
ai 아이콘
AI한입뉴스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Quick Point!

한미 양국, 3500억달러 규모 투자·관세 협상 합의

조선주 단기 상승세 기록

전문가들, 구조적 호재로 보기 어렵다는 진단

숫자 읽기

한화오션 6.90% 상승, 삼성중공업 1.00% 상승

HD한국조선해양 0.11% 하락 마감

협상안: 2000억달러 현금투자, 1500억달러 조선업 협력

맥락 읽기

대미 협력 기대감이 단기 모멘텀으로 작용

실질적 수주 증가보다 관세 리스크 완화에 따른 반등

한국 조선업체, 미국 조선소 복구 참여 형태로 기술·자본 제공

핵심 코멘트

배기연 연구원: 미국 조선 밸류체인 낙후, 단기 실익 기대 어려움

최지욱 연구원: 환율·실적 개선 효과 제한적

향후 실질적 수주로 연결 안 되면 단기 피로감 가능성

주목해야 할 것

현금 투자 연간 200억달러 상한, 환율 영향 제한

달러 결제 중심 조선업, 환차익 효과 크지 않음

실질 효과 현실화까지 시간 필요, 단기 반등 지속성 주목

실질적 수주 확대·실익 기대감 낮아MASGA 프로젝트, 기술·금융 지원 형태 비중증권가, 관세 리스크 완화로 단기 상승 전망

한미 3500억달러 딜에 들썩인 조선주···증권가 "장기 관점으로 접근" 기사의 사진

한미 양국이 총 3500억달러 규모의 투자·관세 협상에 합의하면서 조선주가 상승세인 가운데, 전문가들은 이번 협상이 구조적 호재로 이어지기 어렵다는 진단을 내놓고 있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한화오션은 전 거래일 대비 6.90% 오른 14만10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삼성중공업은 1.00% 오른 3만300원, HD한국조선해양은 장중 오름세를 기록했으나 0.11% 내린 46만1500원을 기록했다.

조선주는 올해 들어 수주 잔량이 안정적인 가운데, 대미 협력 기대감이 단기 모멘텀으로 작용하면서 업종 전반에 매수세가 확산됐다. 다만 증권가는 실질적인 수주 증가나 업황 호조보다는 관세 리스크 완화에 따른 단기 반등이라는 반응이다.

이번 한미 협상은 2000억달러 현금투자와 1500억달러 규모의 조선업 협력(MASGA 프로젝트)으로 구성됐다. 표면적으로는 대규모 투자와 산업 협력 확대가 핵심이지만, 실제 내용을 보면 한국이 미국 조선소 복구에 참여하는 구조에 가깝다. 조선업체 입장에서는 새로운 수주가 아니라 기존 기술력과 자본을 미국에 제공하는 형태다. 즉, 실질적인 수익보다 외교적 명분에 무게가 실려 있다는 평가다.

배기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미국 현지의 조선 밸류체인은 함정 블록을 조달하더라도 조립조차 어려울 만큼 낙후됐다"며 "한미 간 조선 협력은 미국 내 조선 밸류체인 복구를 위한 장기 프로젝트로, 단기 실익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한국 조선소들이 직접적인 발주 확대 효과를 얻기보다는 기술·인력·금융 지원의 형태로 참여할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환율 측면에서도 조선업 실익은 제한적이다. 협상에서 현금투자분(2000억달러)에는 연간 200억달러 상한이 설정됐는데, 이는 한국이 미국에 송금하는 달러 규모를 제한해 달러 수요 급증에 따른 원화 약세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다. 결과적으로 환율 상승 폭이 작아지면서, 달러 결제가 중심인 조선업의 환차익 효과 역시 크지 않다는 설명이다.

최지욱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현금 투자에 연간 200억달러 상한이 적용되는 만큼 환율 및 원화 약세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며 "조선업 실적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배기연 연구원은 "물론 국내 조선업체의 대미 투자가 미국발 낙수효과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효과가 현실화되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향후 1500억달러 투입이 실제 미국 내 수주 확대와 연결되지 않는다면 이번 반등은 단기 피로감으로 돌아올 수 있다"고 전망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