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해외 유통망 확장·판매 물량 확대 기대관세 부담에도 비용 분담·가격 조정으로 실적 방어북미 매출 726억 플러스 전환과 유럽 비중 확대
OpenAI의 기술을 활용해 기사를 한 입 크기로 간결하게 요약합니다.
전체 기사를 읽지 않아도 요약만으로 핵심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증권사들이 실리콘투의 북미 매출 회복과 안정적인 해외 매출 흐름에 주목
목표주가를 6만~6만5000원으로 상향
내년 성장세 기대감 반영
3분기 연결 매출 2994억원, 전년 대비 60% 증가
영업이익 631억원, 48% 성장
시장 예상치(컨센서스) 상회
유럽 매출 1019억원, 전체의 34% 차지
북미·중동 등 주요 권역 모두 두 자릿수 성장
관세 부담에도 브랜드사와 비용 분담, 가격 조정으로 영향 최소화
북미 매출 726억원, 전년 대비 플러스 전환 및 전분기 대비 48% 증가
미국 리테일 채널에서 K-뷰티 수요 확대
공급망 안정성 회복, 물류·운영 리스크 실리콘투가 흡수
두바이·멕시코 법인 설립으로 중동·중남미 시장 진출 확대
3분기 재고자산 7% 증가, 내년 판매 물량 대응력 강화
해외 유통망 확장 본격화 전망
실리콘투의 3분기 실적은 전사적으로 뚜렷한 개선세를 보였다. 연결기준 매출은 2994억원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631억원으로 48% 늘어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3분기 실적은 지역별로도 고른 증가세를 나타냈다. 유럽 매출은 1019억원으로 전체의 34%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기록했고, 북미·중동 등 주요 권역에서 모두 두 자릿수 성장세가 확인됐다. 관세 부담 확대 우려에도 불구하고 브랜드사와의 비용 분담, 가격 조정 등을 통해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주요 지역에서 판매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손민영 KB증권 연구원은 "전 지역에서 수요 정상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며 "K-뷰티 수요가 여전히 굳건함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중에서도 북미는 상승폭이 가장 컸다. 726억원으로 전년 대비 플러스로 전환했고, 전분기 대비로도 48% 증가했다. 조소정 키움증권 연구원은 미국 내 주요 리테일 채널에서 K-뷰티 수요가 확대된 데다, 브랜드사들의 재고 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공급망 안정성이 회복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국 리테일 진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류·운영 리스크를 실리콘투가 흡수하면서 브랜드사 매출이 개선되고 있다"며 "북미 채널은 구조적으로 회복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신규 해외 법인 확장 역시 중장기적으로 실적 성장을 뒷받침하는 요소다. 올해 두바이와 멕시코 법인이 설립되면서 중동·중남미 지역 거래 기반이 눈에 띄게 넓어졌고, 3분기 재고자산이 7% 늘어나 내년 판매 물량 확대에 대응할 수 있는 여력이 확보됐다. 특히 지역 다변화가 본격화되면서 기존 북미·유럽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성장 축이 확장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지윤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두바이와 멕시코 법인 설립을 계기로 신규 지역 매출이 나타나기 시작할 것"이라며 "내년부터 해외 유통망 확장이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문혜진 기자
hjmoon@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