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공업·방산
'AI 인재 양성' LIG넥스원, 성남시·두산에너빌리티와 맞손
LIG넥스원이 성남시, 두산에너빌리티와 '글로컬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오는 9월부터 성남 지역 초중고를 대상으로 AI·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 이번 협력으로 지역의 미래 인재 양성과 교육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총 1,774건 검색]
상세검색
중공업·방산
'AI 인재 양성' LIG넥스원, 성남시·두산에너빌리티와 맞손
LIG넥스원이 성남시, 두산에너빌리티와 '글로컬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오는 9월부터 성남 지역 초중고를 대상으로 AI·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 이번 협력으로 지역의 미래 인재 양성과 교육 혁신을 추진할 계획이다.
중공업·방산
두산밥캣, 하반기 M&A 본격 시동···AI 승부수 띄우나
두산밥캣이 하반기 인수합병(M&A)에 박차를 가하며 AI 등 첨단기술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모색 중이다. 자율주행과 전동화 등 혁신 기술 고도화로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에 집중하며, 탄탄한 현금 자산과 신용등급 상향으로 대규모 투자 여력도 확보했다.
에너지·화학
김정관 두산에너빌 사장, 산업부 장관 후보 지명
이재명 정부의 새로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로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이 지명됐다. 기재부 관료에서 기업으로 자리를 옮긴지 7년 만이다. 이 대통령은 29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마케팅 총괄 사장을 지명했다. 김 후보자는 경제 관료로 행정과 현업을 아우르는 에너지 분야에 정통한 인사로 통한다. 특히 이 대통령의 공약인 재생에너지 분야 확대와 소형모듈원전(SMR) 등 미래 신사업을 주도할 인재로 김 사
에너지·화학
[NW리포트]진격의 두산에너빌리티...밥캣 의존도는 '숙제'
올해 두산에너빌리티의 시가총액이 3배 이상 급증하며 무서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가스터빈·원전 사업 등 핵심 사업에서 잇단 수주 성과를 내는 동시에 대내외적 사업 환경이 우호적으로 바뀌면서 시장 기대감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다만 자회사인 두산밥캣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만큼, 향후 회사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 에너지 사업 실적 기여도를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위상 높아진 두산에너빌…시총 10위권 진입 18일 한국거
인사/부음
[인사]두산그룹
<두산그룹 인사> ◇신규임원(상무) 승진 ▲㈜두산 최우석
중공업·방산
HD현대가 두산비나를 노리는 이유는 '땅'?
HD현대그룹이 두산에너빌리티가 내놓은 베트남 자회사 두산비나를 노리고 있다. HD현대미포가 베트남 법인의 생산 능력 제고를 위한 대대적인 작업에 착수한 가운데, 두산비나가 보유한 공장 부지를 활용해 지원 사격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두산에너빌리티는 두산비나 매각 건을 두고 HD현대그룹과 여러 사안에 대해 조율 중이다. 예상 거래가는 4000억원이 거론되나 업계는 최종 금액이 이보다는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종목
두산에너빌리티, 13년 만에 4만원선 회복···시총 10위권 '눈앞'
두산에너빌리티는 13년 만에 주가 4만원을 회복하며 시가총액 14위에 올랐다. 이는 해외 원전 수주와 미국 시장 진출에 대한 기대감이 영향을 미쳤다. 체코 및 베트남에서의 원전 프로젝트 참여와 함께 트럼프 행정명령에 따른 미국 원전 시장의 확대가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중공업·방산
박정원 회장, AI에 총력···"그룹 경쟁력 확보 기대"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이 올해 인공지능(AI) 투자에 총력을 기울이며 그룹 도약을 위한 체질 개선에 나섰다. 박 회장은 기존 하드웨어 중심이었던 로봇 사업의 영역을 단계적으로 넓혀 미래 AI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이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두산그룹은 피지컬 AI 혁신을 담당하는 조직인 'PAI(Physical AI) Lab'을 지주부문에 신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두산은 그룹 전방위적으로 AI와 관련한 역량을 고도화하고 이
건설사
65주년 두산건설, 10년 만의 최대 실적··· 브랜드 강화와 기술력으로 재도약
올해로 창립 65주년을 맞은 두산건설은 1960년 창사 이래 대한민국 건설산업의 발전과 함께 호흡해왔다. 지난 반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여러 차례 경제적 변동과 위기가 있었지만 두산건설은 그때 마다 오뚜기처럼 일어섰고 지난 24년도에는 10년 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재도약의 기반을 만들었다. 두산건설은 2024년 매출 2조 1753억 원, 영업이익 1081억 원, 당기순이익 198억 원을 기록하며 10년 만에 최대 경영 실적을 달성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에너지·화학
두산, '피지컬 AI' 전담 조직 신설···인재 영입 발굴
두산이 AI 대전환 시대를 맞아 피지컬 AI 조직 'PAI Lab'을 신설하고, 로봇·건설기계·발전기기 등 주요 사업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는 혁신에 본격 나섰다. 미국 스탠포드 HAI와의 산학 파트너십 및 글로벌 스타트업 협력, AI 인재 영입 등으로 산업현장 경쟁력 강화를 추진한다.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