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 서울 11℃

  • 인천 11℃

  • 백령 9℃

  • 춘천 11℃

  • 강릉 15℃

  • 청주 13℃

  • 수원 12℃

  • 안동 14℃

  • 울릉도 17℃

  • 독도 17℃

  • 대전 13℃

  • 전주 13℃

  • 광주 12℃

  • 목포 13℃

  • 여수 17℃

  • 대구 17℃

  • 울산 17℃

  • 창원 17℃

  • 부산 17℃

  • 제주 16℃

알뜰폰 검색결과

[총 197건 검색]

상세검색

SKT 신규가입 중단에 알뜰폰 사업자 강세

종목

[특징주]SKT 신규가입 중단에 알뜰폰 사업자 강세

정부가 SK텔레콤에 유심 부족 현상이 해결될때까지 신규 가입자를 받지 못하도록 행정지도에 나선 가운데 알뜰폰 등 타 통신사업자들의 주가가 강세다. 2일 오전 10시 37분 기준 세종텔레콤은 전장 대비 13.72% 급등한 3850원에 거래되고 있다. LG헬로비전은 전 거래일 대비 8.94% 급등한 2870원에 거래 중이다. 이날 개장 직후 3110원까지 올라 18%대 강세를 기록한 이후 상승폭이 축소된 모습이다. 같은 시각 KT(3.09%), KG모빌리언스(1.30%), LG유플러스(0.

우리은행, 기간통신사업자 등록 완료···4월 알뜰폰 사업 오픈

은행

우리은행, 기간통신사업자 등록 완료···4월 알뜰폰 사업 오픈

우리은행은 6일 기간통신사업자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우리은행은 오는 4월 중 '우리WON모바일'이라는 알뜰폰 브랜드명으로 대고객 서비스를 오픈할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작년 4월 금융위원회 은행 부수업무 공고 이후 알뜰폰 사업을 단계별로 준비해 왔다. 작년 6월에는 LG유플러스와 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고, 7월에는 신속한 사업 준비와 내재화를 위해 전담조직인 모바일사업플랫폼부를 신설했다. 전담조직은 통신 분야에 이

LGU+ '알뜰폰 전략' 통했다···KT 잡고 '1위' 유력

통신

LGU+ '알뜰폰 전략' 통했다···KT 잡고 '1위' 유력

LG유플러스가 지난해 '알뜰폰(MVNO) 퍼스트' 전략에 힘입어 시장 1위 사업자인 KT를 턱밑까지 추격했다. 연초 13만명도 넘던 두 회사의 가입자 수 격차는 연말에 800명대까지 좁혀졌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1월부터 두 회사의 순위가 바뀌었을 것으로 업계는 분석한다. 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LGU+ 알뜰폰 고객 수(회선)는 314만5958명을 기록해 1위 사업자인 KT(314만6852명)와 격차를 894명까지 줄였다. 연초 두 회사 격차

정부, 망 도매대가 최대 52% 인하···'풀MVNO 집중 육성'

통신

정부, 망 도매대가 최대 52% 인하···'풀MVNO 집중 육성'

정부가 올해 통신 정책의 주요 목표를 알뜰폰 경쟁력 제고로 정하고, 데이터 도매대가를 최대 52% 낮춘다. 이동통신사처럼 이용자 맞춤형 요금제를 자유롭게 출시할 수 있는 '풀MVNO' 사업자 출현할 수 있는 환경도 조성한다.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서울 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알뜰폰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정부의 알뜰폰 지원책을 통해 설비 및 시스템 자체 보유 알뜰폰

정부, 알뜰폰 관리 문제 살핀다···제4이통 '입김' 의혹엔 선 그어

통신

[2024 국감]정부, 알뜰폰 관리 문제 살핀다···제4이통 '입김' 의혹엔 선 그어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은 8일 알뜰폰(MVNO)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차관은 이날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정감사에서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의 '알뜰폰 관리 부실' 지적에 이렇게 답했다. 이 의원은 알뜰폰이 대포폰에 악용되는 점에 주목했다. 올해 8월까지 적발된 대포폰 8만6000건 정도가 되는데 이 가운데 8만1513건이 알뜰폰으로 개통된 폰이다. 또 알뜰

KB국민은행 알뜰폰 사업 5년간 600억원 적자···점유율 '제자리'

은행

[2024 국감]KB국민은행 알뜰폰 사업 5년간 600억원 적자···점유율 '제자리'

KB국민은행의 알뜰폰 사업(KB리브모바일)이 5년간 600억원의 적자를 내고 점유율은 5%를 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한민수 의원이 KB국민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 은행의 알뜰폰 사업 KB리브모바일의 영업 손실액은 2019년 8억원, 2020년 140억원, 2021년 184억원, 2022년 160억원, 2023년 113억원으로 5년간 적자가 605억원으로 불어났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000만원에서 1251억원으로 성장

+ 새로운 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