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4월 06일 일요일

  • 서울 6℃

  • 인천 7℃

  • 백령 4℃

  • 춘천 5℃

  • 강릉 6℃

  • 청주 7℃

  • 수원 7℃

  • 안동 8℃

  • 울릉도 10℃

  • 독도 10℃

  • 대전 7℃

  • 전주 7℃

  • 광주 7℃

  • 목포 6℃

  • 여수 9℃

  • 대구 10℃

  • 울산 12℃

  • 창원 11℃

  • 부산 11℃

  • 제주 12℃

철강업계, ‘스틸코리아 2015’ 개최···산·학 교류의 장 마련

철강업계, ‘스틸코리아 2015’ 개최···산·학 교류의 장 마련

등록 2015.10.29 12:05

차재서

  기자

공유

현장기술과 학술연구의 융합과 정보교류에 대한 의견 나눠

29일 한국철강협회가 대한금속재료학회와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철강업계·학계·철강엔지니어·연구자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STEELKOREA 2015’를 개최했다. 사진=한국철강협회 제공29일 한국철강협회가 대한금속재료학회와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철강업계·학계·철강엔지니어·연구자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STEELKOREA 2015’를 개최했다. 사진=한국철강협회 제공


한국철강협회는 대한금속재료학회와 대전 컨벤션센터에서 철강업계·학계·철강엔지니어·연구자 등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회 스틸코리아(STEELKOREA) 2015’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처음으로 열린 ‘STEELKOREA 2015’는 국내 철강업계가 세계적인 공급과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철강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초석을 다지기 위해 마련됐다.

국내 철강관련 산·학·연·관이 한 자리에 모여 현장기술과 학술연구를 유기적으로 융합하고 활발한 정보교류 및 네트워킹을 위한 의견을 나눴다.

철강협회 측은 “일본철강협회의 경우 춘·추계 학술대회가 170회째를 맞았고 독일철강협회도 1979년부터 금속관련 박람회(METEC)내에 기술컨퍼런스를 개최하는 등 산업계와 학계가 함께 참여하는 포럼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서 권오준 한국철강협회 회장은 송재빈 상근 부회장이 대독한 개회사를 통해 “최근 우리 철강업계는 중국발 글로벌 공급과잉과 저가물량 공세에 끼여 경영의 어려움이 날로 깊어가고 있어 심히 우려 된다”고 말했다.

또한 권오준 회장은 “이같은 상황에서 국내 철강업계는 기술 중심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며 수요자가 원하는 새로운 성능의 강재를 적극 개발하고 이를 관련 산업에 널리 적용해 진정한 의미의 수출 창출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수소환원제철 등과 같은 새로운 기술들을 개발·발전시켜 나간다면 머지않은 미래에 우리 철강산업은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신소재 산업으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종수 대한금속재료학회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국내 철강업계는 글로벌 경쟁 환경 속에서 제품의 차별화, 핵심기술의 개발 및 보유를 통한 비교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하며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산·학·연의 협력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전했다.

주세돈 포스코 상무는 ‘철강제품 기술의 새 지평’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에서 “차세대의 철강제품 패러다임은 새로운 생태계를 리딩할 수 있도록 단순 제품 개발에서 벗어나 이용기술 확대, 상업적 지원, 고객이 감동할 수 있는 솔루션 준비자로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주세돈 상무는 “철강업계가 급격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분야에서 경량화에 대한 요구에 대응해 고강도강을 개발해야 하며, 건축·교량분야에서는 곡선이 포함된 철강재, 조선분야에서는 선적 용량 증가에 따른 고강도·고인성강의 개발이 요구된다”면서 “가전분야에서는 타소재와 경쟁과 공생을 모색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현대기아자동차 임종대 상무는 ‘경량 차체 개발을 위한 소재 적용 전략’이라는 강연을 통해 “차체 재료로 널리 사용하는 철강재료는 최근들어 연비향상과 친환경적 요구 증가로 철강재료의 입지는 점점 위협받고 있다”면서 “경량 소재에 대응하기 위해 철강업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오후에는 미래형 자동차 개발동향과 철강소재, 안전한 건축 구조물과 철강소재, 에너지 플랜트와 철강소재, 철강의 최신 연속주조 기술동향 등 4개의 일반 섹션에서 총 33개의 철강관련 주제가 발표됐다.

한편 행사에는 송재빈 철강협회 상근 부회장을 비롯해 김종철 산업부 철강화학과장, 박성호 포스코 부사장, 이계영 현대제철 부사장, 송효석 심팩메탈로이 사장, 최원집 화인베스틸 부사장, 김해두 재료연구소 소장, 이석규 프라임메탈 대표 등이 참석했다.

또한 학계에서는 우종수 대한금속재료학회 회장과 나형용 서울대 명예교수, 조현기 경북대 명예교수, 강춘식 서울대 명예교수, 남승우 KAIST 명예교수, 유연철 인하대 교수, 권숙인 고려대 교수, 민동준 연세대 교수, 장재일 한양대 교수 등이 자리를 찾았다.

차재서 기자 sia0413@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