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껏 볼 수 없었던 조합의 민족이 탄생했다.
29일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JTBC 빌딩 디지털공연장에서 종합편성채널 JTBC 예능프로그램 ‘힙합의 민족’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이날 행사에는 송광종 PD와 산이, MC 스나이퍼, 피타입, 릴보이, 치타, 키디비, 딘딘, 한해, 몬스타엑스 주헌, 래퍼로 변신할 할머니 8인 등이 참석했다.
‘힙합의 민족’은 8명의 힙합 뮤지션과 8명의 할머니 래퍼가 각각 팀을 이뤄 총 5번의 미션을 통해 파격적인 랩 배틀을 펼치는 예능프로그램이다. 신동엽과 산이가 MC를 맡아 매끄러운 진행과 전문적인 의견을 선사할 예정이다.
이날 송광종 PD는 기획의도를 묻는 질문에 “할머니와 힙합을 하면 재미있을 것 같아서 장난 삼아 이야기를 던진 것이다. 후배들도 좋다고 하시고 국장님도 좋다고 해보라고 하셔서 하게 됐다”며 “생각보다 쉽게 됐다”고 답했다.
‘힙합의 민족’이 지닌 최대 강점이자 이색 포인트는 바로 고령의 출연진이다. 평균 65세 할머니들이 랩 배틀을 펼치는 신개념 포맷은 시청자들의 구미를 당기게 만든다.
송 PD는 여배우, 강사, 소리꾼 등 다양한 직업을 지닌 할머니들을 섭외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가 섭외에 둔 기준은 열정의 여부였다. 김영임은 “섭외를 위해 나한테 찾아온 것만 해도 몇 번인데, 할머니들이 청춘과 함께 도전을 한다는 것이 설득력 있었다”고 밝혔다.
그 끝에 모인 8명의 할머니들이 ‘힙합의 민족’에 출연하게 된 계기는 각자 다르지만 도전하고자 하는 정신은 똑같았다. 송 PD는 “다들 생각보다 너무 열심히 하려고 하신다. 그래서 제작진이 부응하지 못해 어렵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영임은 “이 프로에 함께 참여하게 된 의미가 분명하다”며 “우리의 소리를 잘 모르는 것이 소리를 하는 사람들의 고민거리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우리 노래를 알아야 할 텐데 청소년들은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프로 출연하면서 국악 하는 김영임이 이렇게 젊은 친구들과 할 수 있구나 보여주고 싶다. 중요한 것은 우리의 전통을 힙합과 함께 알리고 싶은 마음이다”라고 출연 계기를 털어놨다.
이용녀는 “들리는 힙합을 하고 싶었다.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들어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젊은 사람만 하고 싶은 말이 있냐. 우리도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는 걸 알려주고 싶다”고 속내를 드러냈다.
이경진은 “얌전하고 지고지순한 역할만 했었는데 한 선배가 변신을 줘야 할 때라고 하더라. 나도 연기에 한계를 느꼈었다”며 “출연해서 개망신 당하면 어떡하냐고 했더니 망신을 당해야 반전이 있고 깨부술 수 있는 거라고 하더라”며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된 이유를 털어놨다.
힙합퍼들과 할머니들의 새로운 조합은 힙합이라는 장르를 젊은 세대 고유의 영역으로 국한한 것이 아니라 폭넓은 연령층이 즐길 수 있는 문화임을 증명한다. 신구세대가 음악을 통해 함께 호흡하고 서로를 알아가며 소통을 할 수 있다는 것.
실제로 이날 현장은 웃음이 끊이지 않을 정도로 화기애애했다. 출연진들의 끈끈한 정과 단합을 느낄 수 있었다. 출연진들은 할머니들에게 예의를 갖추면서도 편안한 모습으로 다가갔다. 할머니들이 숨길 수 없는 재치와 센스를 발휘하며 마음을 열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이용녀는 “힙합음악이 나오면 시끄럽다고 짜증난다고 했는데 이제는 길거리에서 나오면 나도 모르게 리듬을 타게 됐다. 신세계에 발을 디디며 조심스럽고 신기한 느낌이다. 한 번 알아볼까 하는 마음이었는데 좋다”고 변화된 모습을 설명했다.
김영옥은 “래퍼들의 실력에 가까이 다가가기에는 어렵다. 감탄스럽다. 그냥 만들어진 게 아니라 오랜 시간 숙련 끝에 나온 재주들이 대단하다”고 젊은 힙합퍼들의 능력을 인정했다.
김영임은 “즉흥적으로 나의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 대단하다. 파트너에 대한 배려와 아량도 보여줘서 어쩜 젊은 친구들이 이렇게 똑똑할까 싶었다”고 칭찬했다.
젊은 출연진 역시 할머니들을 향한 무한애정 공세를 펼쳤다. 키디비는 “버릇 없어 보일 수 있는데 할머니들 너무 귀여우시다. 1회 촬영할 때 배 찢어지는 줄 알았다. 힘들지 않다면 거짓말이지만 너무 재미있어서 시청자 입장에서 보고 있다”고 소감을 전했다.
MC 스나이퍼는 “힙합에서 더 나아가 도전의 아름다움이 보이기 시작했다. 휴머니즘도 느끼고 있다. 음악보다 더 큰 것들이 보이는 프로그램이다. 즐겁게 봐달라”고 당부했다.
산이는 “흔한 예능이 될까봐 출연을 고민했다. 하지만 진정성을 담아서 할머니들이 아름다운 도전을 하고 신구가 뭉치는 모습이 있다. 기대해달라”고 말했다.
또 문희경은 “힙합은 어려운 장르다. 하지만 불가능한 건 없더라. 연습 하면 할수록 나아지는 내 모습을 보고 도전하는 사람은 역시 아름답다는 것을 느꼈다. 나이에 상관없이 할 수 있다는 것에 살아가는데 자신감을 얻었다”고 달라진 점을 설명했다.
이처럼 ‘힙합의 민족’은 단순한 음악 예능을 뛰어 넘어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기고 서로의 문화를 알아가는 계기와 나이를 불문한 도전을 통한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 오는 4월 1일 오후 첫 방송.
이소희 기자 lshsh324@
관련태그

뉴스웨이 이소희 기자
lshsh3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