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8월 19일 화요일

서울 31℃

인천 31℃

백령 29℃

춘천 32℃

강릉 32℃

청주 32℃

수원 31℃

안동 32℃

울릉도 28℃

독도 28℃

대전 32℃

전주 33℃

광주 32℃

목포 31℃

여수 32℃

대구 34℃

울산 34℃

창원 34℃

부산 33℃

제주 30℃

40대 가구 소득 첫 감소···한국 경제 허리 ‘적신호’

40대 가구 소득 첫 감소···한국 경제 허리 ‘적신호’

등록 2016.11.28 10:39

수정 2016.11.28 10:56

김선민

  기자

공유

사진=최신혜 기자사진=최신혜 기자

전체 연령대에서 경제 활동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꼽히는 40대 가장의 가구소득이 감소한 것으로 빍혀졌다.

40대 가장의 가구소득이 감소한 건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27일 통계청의 ‘3분기(7∼9월)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 3분기 가구주 연령이 40∼49세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05만215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03% 감소했다. 같은 기간 30대(4.7%)와 50대(1.3%)의 소득은 각각 소폭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에 30대(4.7%)와 50대(1.3%)의 소득은 각각 소폭 증가했다.

40대 가구의 소득 감소는 사업소득이 1년 전보다 감소한 게 가장 큰 원인이다. 40대 가구의 사업소득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만2000원(5.9%) 줄어든 월 97만8000원에 그쳤다. 경기 침체 여파로 사업소득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 저금리로 이자 등으로 벌어들인 재산소득도 월 5759원에 불과했다.

40대 가구의 소득 감소는 한국 경제 적신호 중 하나로 꼽힌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제 침체를 경험한 2008∼2009년에도 40대 가구가 전 연령대 중 유일하게 소득이 증가하며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했다.

조동근 명지대 교수(경제학)는 “40대 소득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은 국가의 가장 안정적인 소비 기반이 무너지고 있다는 뜻이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이어 “장기적 경기 침체가 본격화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만큼 당국이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