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안팎 비판 여론 거세져‘론스타 먹튀 책임’ 등 과오 많아野 지지만 목매다 흠집 커질수도
13일 관가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문재인 정부 초대 금융위원장으로 김석동 전 위원장의 등용이 유력하게 점쳐지고 있다. 보도 이후 청와대는 김 전 위원장의 등용 여부에 대해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있다. 다만 13일 오후 발표된 장관급 추가 인선 명단에 김 전 위원장의 이름은 없었다. 때문에 청와대가 김 전 위원장의 등용 카드를 스스로 접은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김 전 위원장이 안팎의 반대 여론을 감안해 청와대의 러브콜을 거부했다는 등 다양한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이명박 정부의 마지막 금융위원장인 김 전 위원장은 지난 2011년 1월부터 2년간 금융위원장을 맡았다. 행정고시 23회 출신인 그는 재정경제원(현 기획재정부)를 거쳐 금융감독위원회 감독정책1국 국장을 지낸 뒤 재정경제부 제1차관을 거쳐 금융위원장에 선임됐다.
부산 출신이자 문재인 대통령의 경남중학교 1년 후배인 김 전 위원장은 문 대통령 당선 직후 다른 경남중·고 출신 금융계 인사들과 함께 새 정부와 인연이 깊을 것으로 전망되는 인물로 거론돼왔다.
그러나 후임 위원장 하마평에는 좀처럼 그의 이름이 오르지 않았다. 김 위원장이 이른바 ‘적폐 청산 대상’으로 분류되는 이명박 정부 출신 인사인데다 외환은행 매각 문제나 농협 신용-경제 분리 사업의 무리한 추진 등 여러 사안에 대한 책임 논란이 컸기 때문이다.
실제로 김 전 위원장의 등용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금융권을 비롯해 정치권에서도 반대의 목소리가 줄을 이었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김 전 위원장은 금융 산업 현장과의 소통 없이 독선으로 일관하다 금융 산업의 미래를 망친 인물”이라며 “김 전 위원장의 후임 금융위원장 내정설이 사실이라면 문재인 정부는 금융 정책을 사실상 포기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김 전 위원장을 발탁 배제 대상 관료 후보로 지목한 참여연대와 금융정의연대 역시 “박근혜 정부의 무리한 금융개혁의 이전에는 김 전 위원장이 기획한 정책적 과오가 있었다”면서 “특히 ‘론스타 먹튀 사태’의 책임자이자 사건의 방조자인 만큼 자중해야 한다”고 전했다.
국회 정무위 소속원회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13일 자신의 SNS에 “김 전 위원장은 과거 민주당이 해임 촉구 성명을 낼 정도로 결격 사유가 많다”며 “금융 산업에 신선한 활력을 제공하려면 대표적 ‘모피아’인 김 전 위원장의 등용을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렇듯 김 전 위원장의 등용에 대한 반대 목소리가 높은 상황에서도 정부가 김 전 위원장의 등판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은 그만큼 청와대가 현재의 인사 청문회 정국에 대해 상당한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이 신임 장관 후보로 낙점한 이들 중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 등 일부는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야권의 반대에 막혀 인선에 난항을 겪고 있다.
금융위원장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담당하는 정무위원회도 여소야대의 판국이다. 총 24명의 정무위 위원 중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10석에 불과하다. 자유한국당 7석,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각각 3석, 정의당 1석 등 야권이 훨씬 많은 의석을 점하고 있다.
금융위원장은 인사청문회만 통과하면 바로 임명할 수 있다. 때문에 야권의 지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이명박 정부와 연관된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지지를 얻기 위해 안팎의 비난을 감수하고 김 전 위원장을 후임으로 검토하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있다.
그러나 야권의 지지만을 바라보다 자칫 친정인 민주당의 의견을 거부할 경우 당-청 관계에 심각한 균열이 생길 수 있다. 청와대 입장에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김석동 전 위원장에 대한 호평보다 비판이 더 많다면 인선 카드를 접는 것이 상책”이라면서 “더 이상의 혼란이 가중되지 않도록 금융위원장 인선에 속도를 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뉴스웨이 정백현 기자
andrew.j@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