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i는 1차적으로 일부 질문에 대한 답변 추천과 질문 분야 추천에 적용되며 추후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될 예정이다. 네이버는 질문과 답변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여 지식iN에 질문을 등록하는 이용자들이 더 빠르게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지식i’를 선보였다.
지식iN은 2002년 첫 선을 보인 후 총 1억9000만건 이상의 질문과 2억6000만건 이상의 답변이 등록돼 대표적인 지식 기반 온라인 플랫폼으로 자리잡아왔다. 현재도 연간 2000만건 가량의 질문과 3200만건 이상의 답변이 등록되며 꾸준한 생산성을 유지하고 있다.
지식i의 답변 추천 기능에는 빅데이터 처리, 질문 내용 분석, 기계학습 등 딥러닝 기술이 활용됐다. 새로운 질문이 입력되면 기존 지식iN에 있던 질문들 중 유사도가 높은 질문의 우수 답변이 새로운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자동 추천된다.
추천 답변으로는 ‘전문가 답변’이나 최근 2년간 등록된 양질의 Q&A 4000만건이 활용된다. 질문의 10~15% 정도에 답변 추천 기능이 우선 적용되며, 적용 범위는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지식i의 문맥 처리,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통해 질문 분야 설정도 자동화된다. 지금까지는 질문자가 질문을 입력한 후 해당 질문이 어떤 분야에 속하는지 설정해 해당 분야 전문가들에게 질문을 전달했다.
강춘식 네이버 지식iN 서비스 리더는 “지식iN은 개인 맞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지식 공유 플랫폼으로 자리잡아왔다”며 “기술의 발달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지식i의 적용이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 빠른 시일 내에 지식i를 더욱 넓은 범위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웨이 김승민 기자
ksm@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