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수록 지능화되고 있는 대출사기, 이번엔 스마트폰 ‘앱(App)’이 범죄 도구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가짜 금융회사 앱을 설치하게 한 후 피해자의 돈과 정보를 뺏는 범죄가 늘고 있는 추세.
사기범들은 조작된 발신번호로 은행을 사칭해 피해자에게 접근, 햇살론과 같은 저금리 서민지원 대출을 권유합니다. 통화 중에는 문자나 카카오톡 메시지를 보내 피해자가 스마트폰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게 특징인데요.
이는 금융사 앱을 가장해 중간에서 발신전화를 가로채는 악성코드. 해당 앱을 설치하면 피해자가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이나 금융사로 전화를 걸 경우 즉시 사기범에게 연결되도록 설정됩니다.
의심을 가졌던 사람도 다시 한 번 속을 수밖에 없는 수법이지요. 이렇게 피해자를 안심시킨 사기범은 이후 본격적으로 기존 대출금 상환, 공탁금, 법무사 비용, 보증보험 등 각종 명목으로 돈을 편취합니다.
뿐만 아니라 가짜 앱을 통해 피해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는 물론 직장 등 세세한 개인정보까지 빼내 2차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 이처럼 한번 걸리면 빠져나가기 힘든 대출사기를 피하기 위해 어떤 점에 주의해야 할까요?
평소 출처가 불분명한 메시지의 인터넷 주소나 앱 설치 권유는 확인하지 말고 바로 삭제합니다. 최신 백신 프로그램을 통해 주기적으로 보안을 점검하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 미리 보안 설정(설정-보안-휴대폰 관리-‘알 수 없는 소스 허용하지 않음’ 설정)을 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
또 전화, 문자 등으로 대출을 권유받았다면 일단 전화를 끊고 금감원 홈페이지 등에서 금융사의 대표번호를 확인합니다(발신번호는 금감원, 금융회사 등의 전화번호로 허위 표시될 수 있으니 주의). 대출 관련 사실을 문의할 때는 악성코드 감염 우려가 없는 다른 스마트폰이나 유선전화를 이용하는 게 바람직하지요.
최근 대출사기로 의심되는 전화를 받았다면?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경찰(112)이나 금융감독원(1332)에 신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금전적 피해를 입은 경우에는 신속하게 경찰 또는 해당 금융회사에 지급정지를 신청해야 추후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다는 점 기억하세요!
뉴스웨이 박정아 기자
pja@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