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광역버스는 2016년 12월 운송수지 적자로 인해 기본요금을 2,500원에서 2,650원으로 6%상향 조정했으나 서울7호선, 수인선 등 광역교통수단의 다변화와 요금인상 여파로 승객들의 광역버스 이용률 저하(△6.9%, 2016년-15,411천 명, 2017년-14,336천 명)로 이어져 재정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시는 광역버스 운전직 근로자들의 복지 증진과 운송업체 재정적자 해소방안을 마련해 시행하는 등 다각적인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단기대책으로는 올해 1월부터 수도권통합환승손실보전금 지원규모를 지난해 보다 10%(연 16억원) 확대해 지급하고 있다. 또 금년 6월 중 최종 마무리되는 표준운송원가 검증용역을 통해 손실규모를 점검한 후 금년도 최저시급 인상분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인천시 시내버스는 현재 준공영제를 시행하면서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중장기적으로 광역버스에 대한 준공영제 시행여부는 향후 시의회, 운송업체, 시민사회단체 등과 시간을 갖고 논의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시민들의 광역교통서비스 증대와 운송업체의 건전재정 운영을 위해 최선의 방안과 정책을 펼칠 것획”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주성남 기자
jsn0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