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십억 오가는 사업에 천 단위 분담금이 사업 중단시키지 않아가늠 안되는 분담금에 조합원 혼란 가중···조합 향방도 불투명공인중개사 “매물 걷어가고 시세는 안 떨어져···아직 돈 된다 방증”조합원 “그래도 강남인데”···강남권 재건축 안죽는다 시각 여전
21일 오전 ▲개포주공1·4단지 ▲신반포1·4단지 ▲구반포 1·2·4단지 인근 현장에서는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가 재건축 사업에 미치는 영향이 실제로는 크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분양가 상한제 시행 추가 분담금 여파로 사업을 접는 조합 역시 적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다만 조합원들마다 자금 여력이 다르기 때문에 느끼는 정도 차이는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지난 12일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시행령 개정을 발표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실체가 없는 상황에 대한 염려가 커져 있을 뿐, 그래도 강남 재건축은 건재할 것이란 시각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었다.
개포 주공4단지 재건축 사업장 인근 B공인중개사 대표는 “조합이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됐을 경우를 시뮬레이션 해보니 4단지 3500만원, 1단지 1억원 정도 추가 부담금이 있을 것이란 계산이 나왔다”며 “이정도 추가 분담금이 사업을 접을 만큼의 수준은 아니라는 게 조합원들의 전언이다”라고 말했다.
구반포 주공 재건축 관계자들 역시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실시 이후 조합원들의 동향에 대해 아직 지켜보는 분위라고 전했다.
사업장 인근 C공인중개사 대표는 “반포 1·2·4주구는 관리처분 취소가 더 큰 화제이지만, 이를 차지하더라도 분양가 상한제 때문에 걱정하는 조합원들은 많지 않다”며 “강남권 재건축 가격이 지금 30평에 40억을 호가 하는데, 일반분양이 평당 5000만원에 나와도 이건 완전한 로또 아니냐. 현실적으로 어떻게 분양가가 이보다 더 크게 빠지겠냐는 이야기를 하곤 한다”고 말했다.
다만 추가 분담금 규모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재건축 조합과 조합원들의 혼란은 실재했다. 조합원들은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뚜렷한 실체를 가늠할 수 없는 상황에서 막연한 걱정을 이어가고 있다. 재건축 조합들 역시 어떤 방안이 더 나은 선택이 될 지를 두고 고민하는 모양새다.
구반포 주공 재건축 사업장 인근에서 만난 한 조합원은 “우왕좌왕이 정확한 표현”이라며 “사실 정부가 시행령 개정을 발표했지만 아직 이렇다 할 실체가 없기 때문에 수익을 더 챙기자는 조합원들 반, 너무 기한을 많이 끌었다며 그냥 쭉 진행하자는 쪽 반···”이라며 말을 흐렸다.
반포2단지 주변 D공인중개사 실장은 “하루에 거래 문의보다 분양가 상한제 여파 질문이 더 많다”며 “우리도 가늠하기 힘든 부분이라 딱 떨어지는 답을 하기 힘들고, 조합도 아직까지 선분양과 후분양 등 사업 진행 방향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이슈 이후 관망세와 혼란이 뒤섞인 상황 속에서도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의 호가는 떨어지지 않았다. 특히 매도자가 매물을 거둬들이고 있는 반면 매수자 문의는 적지만 꾸준하다는 전언이다. 공인중개사들은 이같은 현상을 ‘그래도 재건축하면 이득’의 방증이라 설명했다.
개포주공4단지 내 위치한 E공인중개사 대표는 “정부가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몸값을 떨어뜨리기 위해 분양가 상한제를 실시했지만, 이후 시세가 낮아지지 않았다”며 “거래는 한달에 1~2건이 전부이긴 해도 이건 매도자가 내놨던 물건을 거둬들였기 때문이지 매수자가 없진 않다”라고 말했다.
신반포 재건축 단지 인근 F공인중개사 대표 역시 “매수자들은 분양가 상한제 이후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 예상하고 문의를 하지만 파는 사람들은 가격을 내릴 생각도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내놨던 것도 가져가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그래도 강남 재건축’이라는 시류도 여전했다. 구반포 단지 내에서 만난 다수의 조합원들은 “앞으로 한국 부동산은 반포 재건축 이전과 이후로 나뉠 것”이라며 재건축 이후에 대한 기대감을 한 문장으로 정의했다.
이들 중 한 조합원은 “분양가 상한제에 대해 워낙 말이 많으니 걱정은 되지만 10억 버느냐 7~8억 버느냐의 차이”라며 “정권이 바뀌면 상황이 달라지지 않을까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돈이 묶여있는 게 싫은 조합원은 진행을 원하는 등 의견은 분분하지만 누구나 들어와 살고 싶어 하는 강남권 가치가 크게 떨어질 것이라 생각지 않는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crysta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