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윤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16일 ‘감염병 리스크 대비 보험상품 필요’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감염병 창궐이 반복되고 그로 인한 기업의 보장 공백이 커짐에 따라 감염병 위험의 부보 가능성에 대한 전향적 논의가 필요하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의료기술 발전과 방역체계 강화에도 불구하고 감염병 발생 빈도와 위험에 대한 경제적 민감도는 높아지고 있다.
실제 세계보건기구 산하 세계준비감시위원회(GPMB)에 따르면 1918년 전 세계 인구의 2.8%인 약 5000만명이 사망한 스페인 독감과 유사한 수준의 감염병이 지금 발생할 경우 약 8000만명이 사망하고 세계 국내총생산(GDP)는 5% 감소할 것으로 추산된다.
감염병 확산은 감염, 치료 및 격리, 사망에 따른 인적 손실과 함께 경제주체들의 불안 심리에 따른 경제활동 위축, 글로벌 공급 실패 등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무역업과 관광업이 세계 경제의 약 18%를 차지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세계 경제는 감염병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 2015년 메르스에 이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액이 커지고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메르스의 경제적 피해액을 감염자와 사망자에 대한 국가 보상 등 직접 피해액 1927억원, 노동생산성 손실액 140억원, 광광산업 피해액 2500억원, 전 산업 파급액 1조8433억원 등 총 2조3010억원으로 추산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가 중국 내에 집중될 경우 관광 수입은 9000억원, 수출액은 1조5000억~2조5000억원 감소하고 국내 소비는 0.1%포인트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감염병 위험은 발생 가능성이 낮지만 발생 시 손실 규모가 큰 꼬리리스크(Tail Risk)인데다 피해액 산출이 어려워 민간보험에서 담보를 꺼리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최근 해외 모델링 기업들은 국가 단위 방역 수준, 인구 밀도 및 이동, 운송 패턴 등의 변수들을 이용해 감염병 위험 발생 가능성과 영향도에 대한 예측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관광산업, 항공산업 등 감염병이 경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감염병 민감산업을 대상으로 감염병 지수형보험 개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지수형보험은 감염병으로 인해 실제 발생한 손실액이 아니라 일정기간 감염된 사람의 수 등 객관적 지표에 따라 보상 여부와 금액을 결정하는 상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상청과 보험업계가 기후 예측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기업의 손실을 보장하기 위해 날씨 민감산업을 대상으로 날씨 변화에 따른 손실액을 보상하는 지수형보험을 개발한 바 있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jky@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