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DB생명, 김영만 대표 체제 출범···실적회복·자본확충 과제

DB생명, 김영만 대표 체제 출범···실적회복·자본확충 과제

등록 2020.09.16 18:27

장기영

  기자

공유

DB생명, 16일 김영만 대표이사 선임DB손보 40년 근무 기획·재무 전문가순이익 2015년 이후 4년 연속 감소6월말 RBC비율 업계 최저 163.4%

DB생명, 김영만 대표 체제 출범···실적회복·자본확충 과제 기사의 사진

수익성과 건전성 동반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DB생명이 16일 김영만 신임 대표이사<사진> 체제로 공식 출범했다.

DB생명은 현행 자본건전성 지표인 위험기준 지급여력(RBC)비율이 업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져 자본 확충이 가장 시급한 과제다.

DB생명은 이날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해 김영만 전 DB손해보험 부사장을 대표이사 사장으로 선임했다.

김 사장은 지난 1일 김남호 DB그룹 회장 취임 이후 첫 금융계열사 사장단 인사에서 DB생명 대표이사로 내정된 바 있다.

그는 1954년생으로 서울고와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했다. 1980년 DB손보(옛 동부화재) 입사 이후 상품개발팀, 경영기획팀 등을 거쳐 경영지원실장(CFO)을 역임했다.

김 사장은 DB그룹 핵심 금융계열사인 DB손보에서 40년간 근무하며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DB생명의 실적 회복을 추진할 전망이다.

개별 재무제표 기준 DB생명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89억원으로 전년 246억원에 비해 57억원(23.2%) 감소했다.

DB생명의 당기순이익은 지난 2015년 512억원을 기록한 이후 4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업계 최저 수준인 RBC비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자본 확충은 해결이 가장 시급한 당면 과제다.

DB생명의 RBC비율은 올해 3월 말 165.5%에 이어 6월 말 163.4%로 하락했다.

RBC비율은 보험계약자가 일시에 보험금을 요청했을 때 보험사가 보험금을 지급할 수 있는 능력을 수치화한 자본적정성 지표다. ‘보험업법’에 따라 모든 보험사의 RBC비율은 반드시 100% 이상을 유지해야 하며, 금융당국의 권고치는 150% 이상이다.

RBC비율이 법적 기준치인 100% 아래로 떨어지면 금융당국으로부터 적기시정조치를 받게 된다.

특히 오는 2023년 보험 국제회계기준(IFRS17)과 신(新)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자본 확충이 필요하다.

IFRS17은 보험부채를 기존의 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새 국제회계기준이다. 이에 따라 자본 변동성 확대 등 위험 요인을 반영한 K-ICS가 함께 시행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올해 하반기 중 전 보험사를 대상으로 K-ICS 3차 개편안(3.0) 마련에 따른 계량영향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관련태그

뉴스웨이 장기영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