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층·노년층은 전체 평균 점수보다 낮아
29일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이 공동 조사한 ‘2020년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만 18세~79세)의 금융이해력 총점은 66.8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8년 조사 결과보다 4.6점 높아진 수준이다. OECD 평균(2019년 62.0점)보다도 높은 결과다. 2018년 당시에는 OECD 평균(2015년 조사 결과·64.9점)을 넘지 못했다.
이같은 변화에 대해 한은 관계자는 “주식 붐 등으로 금융·경제 관련 기사와 관련 관심이 늘어나고, 학생들까지 손쉽게 금융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점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다만 청년층(18~29세, 64.7점)과 노년층(60~79세, 62.4점)은 전체 평균 점수보다 낮았다. 성별로는 남자(66.6점)와 여자(67.0)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금융이해력 3개 항목 가운데 금융지식 점수(73.2)는 2018년(65.7)보다 7.5점이나 뛰었다. 설문 대상자들은 세부 문항 가운데 이자개념(93.1점), 위험과 수익간 관계(87.3점), 인플레이션 의미(80.2점) 등을 잘 알고 있었지만, 복리 개념(39.5점)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금융행위 점수도 2년 사이 59.9점에서 65.5점으로 5.6점 높아졌다. 적극적 저축활동(97점), 가계수지 적자 해소(9.14점) 등에서 점수가 높았지만, 신중한 구매(54.7점)와 평소 재무상황 점검(52.4점) 등이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미래 대비와 관련된 금융태도 점수(60.1)는 오히려 2018년(61.3)보다 1.2점 떨어졌다. 이 부문에서 OECD가 권고하는 최소 목표점수(60.1점)에 이른 응답자의 비중은 39.9%에 불과했다.
부가 질문에서도 ‘장기 재무목표를 갖고 있다’는 답의 비율이 42.4%로 절반을 밑돌았고, ‘은퇴준비에 자신이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14.2%에 불과했다.
‘소득 상실시 생계비를 감당할 수 있는 기간’은 ▲1개월미만 10.6% ▲1∼3개월 26.1% ▲3∼6개월 21.3% ▲6개월 이상 37.9%로 조사됐다. 전체 응답자의 약 62%는 소득이 당장 끊기면 6개월 이상 버티기가 어렵다는 뜻이다.
특히 청년층(18∼29세)의 경제·금융 차원의 미래 준비가 부족했다. 청년층의 34.2%는 '저축보다 소비 선호'에 동의해 반대 비율(26%)을 웃돌았다.
한은 관계자는 “청년층의 소비 중시 경향은 금융 행위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며 “금감원 등 유관기관과 함께 청년층의 건전한 금융태도 조성을 위한 조기 경제·금융 교육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금융이해력이란 합리적이고 건전한 금융생활을 위해 필요한 금융지식·금융행위·금융태도 등 금융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정도를 의미하며, 점수는 국제기준(OECD·INFE)에 따라 산출한다.
뉴스웨이 이수정 기자
crystal@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