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3456개사 분석···“환경·사회 리스크 정형화해 대비해야”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세계적인 ESG 평가기관인 서스테이널리틱스 사이트에 공개된 전세계 3456개 기업의 분석결과(8월 초 기준)를 토대로 작성된 ‘글로벌 기업 ESG 리스크 MAP’ 보고서를 22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기업이 관리할 수 없는 ESG 리스크가 기업의 재무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로 환산했다. 10점 이하는 리스크가 ‘극히 낮음’, 10~20점은 ‘낮음’, 20~30점은 ‘중간’, 30~40점은 ‘높음’, 40점 이상은 ‘심각’을 나타낸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주요 증권거래소 중 상장기업들의 ESG 리스크 점수가 가장 높았던 시장은 36.1을 기록한 상하이증권거래소였다. 이어 선전(32.9), 홍콩(30.5), 한국(30.1) 순으로 리스크가 높았다.
반면 리스크가 낮은 시장은 파리(20.6), 런던(21.6), 나스닥(22.1), 대만(22.4) 등이었다.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상대적으로 리스크 점수가 낮은데 국가별로 서비스업과 제조업 비중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업종별 분석결과 ESG 리스크가 높은 업종은 금속, 철강, 비철금속, 오일가스, 우주항공·방산 순이었으며, 리스크가 낮은 업종은 섬유·의류, 운송인프라, 미디어, 포장, 소매업 순이었다.
한국기업 중 ESG 리스크가 낮은 기업은 삼성전기(15.0),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15.4), 현대모비스(16.0), CJ대한통운(16.1), 엔씨소프트(16.8), 한온시스템(17.1), 현대글로비스(17.3), CJ ENM(17.6), 네이버(17.7)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전체 3456개사 중 리스크가 높은 ‘톱5’를 차지한 기업은 중국북방희토하이테크, 도쿄전력, 내몽고포두철강연합, 즈진 마이닝 그룹 등 중국·일본기업들이었다.
상위 20개사도 중국 14개사, 캐나다 2개사, 일본·멕시코·호주·미국 각 1개사였다. 이들 기업은 공통으로 최근 3년 내 사회적 사건·사고를 뜻하는 ‘콘트로버시 5등급’을 받았다.
올해 초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보관 중인 오염수의 해양 방출을 결정한 도쿄전력과 2017년 1억3000만명의 개인정보를 유출한 에퀴팩스가 대표적이다.
전경련은 사건·사고의 파장 정도도 중요하지만 기업별 리스크 대응 수준이 다른 경우 등급에 차이가 발생했다고 전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ESG경영은 결국 전사적 리스크 관리이며 기업들이 업종별 중대 ESG 리스크 이슈를 사전에 정형화해 발생확률을 낮추고, 리스크 발생 시 즉각 대응할 수 있는 프로세스나 거버넌스 요소를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뉴스웨이 고병훈 기자
kbh6416@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