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1일 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저축은행도 가계대출 한도 ‘빨간불’···옥죄는 금융당국에 대응 ‘고심’

금융 은행

저축은행도 가계대출 한도 ‘빨간불’···옥죄는 금융당국에 대응 ‘고심’

등록 2021.09.30 17:05

한재희

  기자

공유

6월말 총량 기준 21.1% 초과한 저축은행 18곳대형 저축은행, 여유있지만 ‘풍선효과’ 장담 못해중저신용자 대출절벽에 몰릴 우려도 나와한도 줄이거나 고금리 대출 상품 줄일 듯

그래픽=박혜수 기자그래픽=박혜수 기자

금융당국의 고강도 가계대출 관리에 저축은행도 자유로울 수 없게 됐다. 금융당국이 제시한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인 21.2%를 넘어선 곳들이 등장한 가운데 앞으로 시중은행 대출 수요가 저축은행으로 몰릴 가능성이 더 커져서다. 저축은행에서도 일부 신규 취급 중단 가능성이 나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가계대출 잔액 증가율 21.1%를 넘긴 저축은행은 18개사다. 이들 저축은행 중 최저 22.6%부터 많게는 84.5% 초과한 저축은행도 있다. 대다수 지방 중소형사지만 대형 저축은행 일부도 포함됐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보면 올해 6월 말 기준 국내 저축은행 79곳의 가계대출 총 잔액은 약 36조87억원이다. 이는 작년 말 잔액인 31조5948억원보다 14.0% 늘어난 수치다.

개별 저축은행으로 보면 79곳 중 17곳이 상반기 가계대출 증가율이 이미 21.1%를 넘었다. 특히 대신저축은행(78.9%),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41.4%), KB저축은행(38.2%), BNK저축은행(36.3%), DB저축은행(23.7%) 등의 증가율이 높았다.

가계대출 잔액이 SBI저축은행, OK저축은행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웰컴저축은행도 상반기에 이미 24.9% 증가율을 보였다.

전날 금융위원회는 업계 최대 SBI저축은행을 비롯해 애큐온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를 불러 각사 가계부채를 점검했다. 앞서 지난 24일엔 KB저축은행 관계자를 불러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요구하기도 했다. KB저축은행은 올해 6월 말 가계대출 잔액이 약 1조567억원으로 작년 말(7643억원) 대비 38.2% 늘었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 연간목표 초과 사유를 묻고 앞으로의 계획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축은행업계에서는 연간 사업계획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올초부터 중금리대출 확대에 집중해온 만큼 대출 확대는 불가피했는데 연말까지 한도가 다 찰 경우 대출 승인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시중은행과 같이 대출 취급 중단을 고려해야 할 상황이 올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각 저축은행마다 대출 취급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대출 한도를 줄이거나 고금리 대출 상품 비중을 줄이는 방식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시중은행 대출 수요가 저축은행으로 옮겨가는 ‘풍선효과’를 경계하고 있다. 가계대출 관리를 위해 저축은행 등 2금융권까지 옥죄겠다는 뜻이다.

이미 당국은 저축은행 포함 2금융권에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저축은행 대출이 막힐 경우 중저신용자들이 대출절벽으로 몰릴 수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대출 성격이 달라서 풍선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란 예상도 있지만 금융당국의 주문에 따라 저축은행 업계는 대출 문턱을 더 높일 수 밖에 없다”면서 “저축은행이 대출 문턱을 높일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