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美 금리 인상 등기준금리 인상 압박 요인 커져총재 부재·인상 효과 보자는 의견도총재 취임 후 5월 금리 인상 가능성
12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6일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0%가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 결정을 예상했다고 밝혔다. 50%는 동결을 예상했다는 뜻이다.
가파른 물가 상승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한 번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 스텝' 가능성 등에 금리 인상 응답자 비율이 높아졌다고 금투협은 설명했다.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가장 큰 요인은 물가다. 한국은행 역시 당분간 높은 물가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 5일 열린 '물가 상황 점검회의'에서 한은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영향으로 높은 물가 오름세가 상당기간 이어질 수 있다"며 "지난 2월 전망에 비해 향후 물가경로의 상방리스크가 더욱 커졌다"고 평가했다.
3월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국제 유가 급등으로 석유류 가격이 크게 상승(31.2%) 하면서 2011년 이후 처음으로 4% 웃돌았다.
수요회복, 원자재가격 인상 등에 따른 외식이 6.6%, 가공식품 6.4% 가격 상승도 물가 오름세 확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구매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은 석유류, 식료품, 외식 등을 중심으로 물가가 오르면서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도 3% 가까이 상승했다.
한은은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원유, 곡물 등 원자재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당분간 4%대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연간으로는 지난 2월 전망치(3.1%)를 크게 상회할 가능성도 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추가 금리 인상은 총재 취임과 한은 수정 경제전망이 발표되는 5월 금통위가 적절할 것으로 판단하지만, 4월 인상도 배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공격적인 긴축 의지도 기준금리 인상을 압박하는 요인이다. 연준이 이르면 오는 5월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p 인상하는 '빅스텝'을 예고한 만큼 한은도 이에 대응하려면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
총재는 공석이지만 합의제를 통해 기준금리가 결정된다는 점도 변수다. 상황이 시급하다고 여겨지면 6명의 위원이 합의를 통해 금리를 올릴 수 있다.
반면 동결을 예상하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한은이 이미 주요국보다 한 발 빨리 3차례 금리를 올렸기 때문에 파급 효과 점검에 '숨 고르기'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총재 공백 상황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봤다.
키움증권은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1.25%로 동결할 것으로 전망한다"면서 "총재가 부재한 상황이라는 점과 한은의 선제 금리 인상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높은 물가 흐름에도 4월보다는 5월에 수정경제전망 발표와 함께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대외 금리 변동성 확대에 따라 2조원 규모의 단순매입을 진행한 점 또한 4월봗는 5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지지하는 요인이라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뉴스웨이 한재희 기자
han324@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