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3월 30일 목요일

  • 서울 8℃ 날씨

  • 인천 4℃ 날씨

  • 백령 5℃ 날씨

  • 춘천 3℃ 날씨

  • 강릉 12℃ 날씨

  • 청주 5℃ 날씨

  • 수원 4℃ 날씨

  • 안동 4℃ 날씨

  • 울릉/독도 12℃ 날씨

  • 대전 5℃ 날씨

  • 전주 6℃ 날씨

  • 광주 4℃ 날씨

  • 목포 4℃ 날씨

  • 여수 9℃ 날씨

  • 대구 8℃ 날씨

  • 울산 9℃ 날씨

  • 창원 9℃ 날씨

  • 부산 9℃ 날씨

  • 제주 7℃ 날씨

뉴스웨이 로고

IT KT 5G 고객 비중, LTE 넘어섰다···통신3社 최초

IT 통신

KT 5G 고객 비중, LTE 넘어섰다···통신3社 최초

등록 2023.02.07 17:27

임재덕

  기자

작년 12월 5G 비중 48.28%···LTE 47.48% 앞질러통신업계 첫 사례 "5G 대세화 전환점, 의미 커"LTE 홀대 논란 속, 4G 고객 감소세는 되짚어봐야

지난해 KT 5G(세대) 가입자 비중이 LTE(4G)를 넘어선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 이동통신 3사 중 첫 사례로, 상용화 4년차를 맞은 5G가 대세화 '전환점'을 맞았다는 데서 의미가 크다. 다만 이 과정에서 'LTE 홀대' 논란이 일며, 4G 고객 감소세가 두드러진 점은 되짚어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을 보면, 지난해 12월 KT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 중 5G 고객(회선) 비중은 48.28%로, LTE(47.48%)를 앞질렀다. 국내 이동통신 3사 중 처음이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여전히 LTE 고객 비중이 5G 대비 각각 9.70%포인트(p), 24.03%p 더 높다. 업계 한 관계자는 "5G 상용화 4년차를 맞아 LTE에서 5G로 넘어가는 전환점이 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배경은 지속적인 5G 가입자 확대다. 지난해 KT는 1월 656만5106명이던 5G 고객을, 12월 844만9258명까지 28.7%(188만4152명) 확대했다. 같은 기간 31.4%(320만3380명) 5G 신규 가입자를 모집한 SKT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개선해야 할 점도 있다. 높은 LTE 가입자 감소세다. 같은 기간 KT LTE 고객은 989만3370명에서 830만9726명으로 16.0% 줄었는데, 이는 통신 3사를 통틀어 최대(SKT 11.4%·LGU+ 5.2%)다. 그 결과 전체 무선통신서비스 가입자 증가율이 0.2%에 그쳐 ▲SKT 2.6% ▲LGU+ 5.0%에 미치지 못했다.

업계에서는 KT LTE 가입자 이탈 배경으로 지난해 불거진 'LTE 홀대 논란'을 꼽는다. 속도는 느려지는데, 이용자들이 받는 혜택조차 줄어 이런 결과가 나온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5G 고객을 유치할 때 중간요금제 등 유인책을 써야지, LTE 가입자를 불편하게 하는 식으로 이동을 유도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실제 과기정통부 '2022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보면, 지난해 KT의 LTE 다운로드 속도는 135.41Mbps로, 1년 전에 비해 2.82Mbps 줄었다. 경쟁사들이 모두 속도를 개선할 때 나홀로 뒷걸음질 친 것이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여기에 LTE 고객들이 받는 혜택도 사실상 축소했다. 지난해 12월부터 LTE에 새로 가입하는 고객 대상 결합할인 조건을 강화한 건데, LTE 고객은 비슷한 조건 대비 5G보다 더 비싼 요금제를 써야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본지는 지난해 11월 '(▶관련기사 : [단독]KT 'LTE 힘빼기'···5G보다 '통신비' 비싸진다)' 제하의 기사에서 이런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KT 관계자는 "통신3사 공통으로 5G 가입자가 증가세를 보이고, LTE 가입자가 감소세를 보이는 것에 따른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