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06일 월요일

서울

인천

백령

춘천

강릉

청주

수원

안동

울릉도

독도

대전

전주

광주

목포

여수

대구

울산

창원

부산

제주

금융 금융당국, 부동산 부실 PF 정리 나선다

금융 금융일반

금융당국, 부동산 부실 PF 정리 나선다

등록 2024.01.28 10:08

수정 2024.01.29 07:15

이지숙

  기자

공유

"집중관리대상 숫자 있다"

[DB 태영건설, 태영그룹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DB 태영건설, 태영그룹 사진=강민석 기자 kms@newsway.co.kr

금융당국이 태영건설 워크아웃을 계기로 금융권이 보유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해 강도 높은 수술 의지를 내비쳤다.

28일 연합뉴스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추산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부동산 PF 대출잔액 규모는 130조원 중반에 달한다. 이중 브릿지론이 약 30조원, 본 PF가 약 100조원일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원은 지난해 상반기 중 증권사 등 제2금융권에서 취급한 PF의 만기 연장 비율은 브릿지론은 70%, 본 PF는 50% 정도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 부동산시장 회복이 지연될 경우 향후 부실 발생 규모는 예상 밖으로 매우 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국내 PF 시장은 착공 이전 단계에서 시행사가 토지매입을 위해 조달하는 자금인 브릿지론과 사업 인허가와 시공사 선정이 이뤄진 이후 브릿지론 상환과 건축비용 조달을 위한 본 PF라는 이중 대출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저축은행 등 주로 2금융권에서 높은 이자를 내고 빌려 쓰는 브릿지론은 가장 위험한 단계로, 2011년 저축은행 사태를 촉발한 바 있다.

만기 연장이 이뤄진 사업장은 분양이나 매각 실패가 이뤄진 경우여서 그 자체로서 사업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금융당국은 향후 담보가치 등 사업성 평가를 엄격히 해서 충당금 적립을 강화하도록 하고, 밀착 점검을 통해 부실 PF 정리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금융감독원은 지난 25일 캐피탈사와 저축은행 담당 임원을 소집해 본 PF 전환이 안 되는 브릿지론에 대해서는 손실을 100% 인식해 충당금을 적립할 것을 요청했다.

또 공사지연 또는 분양률이 낮은 본 PF 사업장에 대해서는 단계적인 충당금 적립으로 손실 흡수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이 충당금 적립 압박을 통해 경공매나 매각 등 재구조화까지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집중관리 대상으로 꼽는 숫자가 있다"면서 "사업성이 없는 것을 단순히 만기 연장으로 그냥 끌고 가면서 부실 인식을 늦추는 것은 막겠다는 게 금융당국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