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관리대상 숫자 있다"
28일 연합뉴스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추산 등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부동산 PF 대출잔액 규모는 130조원 중반에 달한다. 이중 브릿지론이 약 30조원, 본 PF가 약 100조원일 것으로 추산됐다.
연구원은 지난해 상반기 중 증권사 등 제2금융권에서 취급한 PF의 만기 연장 비율은 브릿지론은 70%, 본 PF는 50% 정도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어 부동산시장 회복이 지연될 경우 향후 부실 발생 규모는 예상 밖으로 매우 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국내 PF 시장은 착공 이전 단계에서 시행사가 토지매입을 위해 조달하는 자금인 브릿지론과 사업 인허가와 시공사 선정이 이뤄진 이후 브릿지론 상환과 건축비용 조달을 위한 본 PF라는 이중 대출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저축은행 등 주로 2금융권에서 높은 이자를 내고 빌려 쓰는 브릿지론은 가장 위험한 단계로, 2011년 저축은행 사태를 촉발한 바 있다.
만기 연장이 이뤄진 사업장은 분양이나 매각 실패가 이뤄진 경우여서 그 자체로서 사업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금융당국은 향후 담보가치 등 사업성 평가를 엄격히 해서 충당금 적립을 강화하도록 하고, 밀착 점검을 통해 부실 PF 정리에 속도를 내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금융감독원은 지난 25일 캐피탈사와 저축은행 담당 임원을 소집해 본 PF 전환이 안 되는 브릿지론에 대해서는 손실을 100% 인식해 충당금을 적립할 것을 요청했다.
또 공사지연 또는 분양률이 낮은 본 PF 사업장에 대해서는 단계적인 충당금 적립으로 손실 흡수능력을 높여야 한다는 방침이다.
이같이 충당금 적립 압박을 통해 경공매나 매각 등 재구조화까지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집중관리 대상으로 꼽는 숫자가 있다"면서 "사업성이 없는 것을 단순히 만기 연장으로 그냥 끌고 가면서 부실 인식을 늦추는 것은 막겠다는 게 금융당국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뉴스웨이 이지숙 기자
jisuk618@newsway.co.kr
저작권자 © 온라인 경제미디어 뉴스웨이 ·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