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3일 토요일

  • 서울 3℃

  • 인천 3℃

  • 백령 5℃

  • 춘천 -1℃

  • 강릉 5℃

  • 청주 3℃

  • 수원 2℃

  • 안동 2℃

  • 울릉도 8℃

  • 독도 8℃

  • 대전 2℃

  • 전주 4℃

  • 광주 3℃

  • 목포 7℃

  • 여수 8℃

  • 대구 5℃

  • 울산 8℃

  • 창원 7℃

  • 부산 8℃

  • 제주 7℃

IT 日 "라인 경영권 넘겨라"···이해진 '선택'에 쏠린 눈

IT 인터넷·플랫폼

日 "라인 경영권 넘겨라"···이해진 '선택'에 쏠린 눈

등록 2024.04.29 07:22

임재덕

  기자

공유

소뱅, 네이버와 지분 매입 협상···성사시 '라인야후' 독자 경영정보유출 야기한 위탁 시스템 조율에도···日 "지분 넘겨라"깊어지는 고심···팔면 글로벌化 차질, 안 팔면 보복성 제재 우려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에게 닥친 '선택의 시간'이 두 달가량 남았다. 그 안에 일본 국민 메신저로 성장한 '라인'(LINE) 경영권을 협력사인 소프트뱅크에 넘기라는 현지 정부의 요구에 답해야 한다.

이를 받아들이면 라인을 중심으로 추진하던 이 GIO의 글로벌 진출 꿈은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반대로 거절할 경우 국가 차원의 보복성 제재로 사업 자체가 위기에 빠질 수도 있다.

소프트뱅크가 라인야후의 중간 지주회사인 에이(A)홀딩스 주식을 네이버로부터 매입하기 위한 협상을 추진하고 있다. 성사될 경우 네이버가 13년간 키운 라인의 경영권은 소프트뱅크로 넘어가게 된다. 그래픽=홍연택 기자소프트뱅크가 라인야후의 중간 지주회사인 에이(A)홀딩스 주식을 네이버로부터 매입하기 위한 협상을 추진하고 있다. 성사될 경우 네이버가 13년간 키운 라인의 경영권은 소프트뱅크로 넘어가게 된다. 그래픽=홍연택 기자

29일 업계에 따르면, 소프트뱅크는 라인야후의 중간 지주회사인 에이(A)홀딩스 주식을 네이버로부터 매입하기 위한 협상에 나섰다. 소프트뱅크가 A홀딩스의 주식을 조금이라도 취득하면, 라인을 서비스하는 '라인야후' 경영권을 쥐게 된다.

현재 A홀딩스 지분은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각각 50%씩 갖고 있다. 또 A홀딩스는 '라인야후' 지분 64.5%를 보유했다.

라인야후는 라인을 보유한 네이버와 야후의 소프트뱅크가 2021년 합병하면서 탄생한 회사다. 두 회사는 '공동 경영권 행사'에 합의, 지주회사인 A홀딩스 지분을 똑같이 50%로 나눴다.

그런데 지난해 11월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터지며, 두 회사의 '공동 경영' 전선에 금이 갔다. 라인의 고객 정보를 관리하는 네이버 클라우드(가상 서버)가 해킹당해 라인야후 이용자 정보 51만여건이 외부에 유출된 게 배경이다.

당시 일본 총무성은 "한국 기업이 경영권을 행사하기 때문에 해킹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다"면서, 개선책을 마련하되 네이버와의 지분 관계 재검토도 포함하라는 취지의 행정지도를 내렸다.

라인야후는 문제가 된 네이버와의 시스템 위탁 규모를 축소·종료하는 재발 방지책을 냈지만, 총무성은 오는 7월 1일까지 새로운 개선책을 들고 오라고 요구(2차 행정지도)했다. 그러면서 소프트뱅크에는 '라인야후에 대한 자본적인 관여를 보다 강화할 것'을 바랐고, 최근 양사 간 협상까지 오게 됐다.

네이버 내부에서는 "불합리한 요구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지분 매각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더 큰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터 유출 문제라면 이에 대한 과실이 있었는지 확인하고 시정 명령이나 과징금을 부과해야지, 정부가 사기업의 지분관계에 개입하는 건 부당하다는 얘기다.

라인은 이해진이 그린 '글로벌 네이버' 전략의 핵심이라는 점도 경영권을 포기하지 못하는 배경이다. 전 세계적으로 라인의 고객은 2억명에 달한다. 특히 일본에서는 전 국민의 80%(월 고객 9600만명)가 쓰는 '국민 메신저'가 됐고 ▲태국(5500만명) ▲대만(2200만명) ▲인도네시아(600만명)에서도 굳건히 자리 잡았다. 메신저는 다른 플랫폼과 시너지가 좋아, 새로 진입한 국가에서 사업을 확장하기에 용이하다.

네이버의 '버티기'가 장기화할 경우 한국과 일본의 국가 간 외교전으로 비화할 수도 있다. 자국 회사와 합작하는 우방국 기업에 지분 매각 등을 압박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와 현안을 공유하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그런데도 결국 지분 매각도 비중을 두고 검토할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자국의 '데이터 주권'을 가져오기 위한 일본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행보라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일본 정부가 내린 행정지도는 법적 구속력이 없지만, 관료제가 강한 일본에서 이를 어기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면서 "일본의 요구를 거절할 경우 보복성 제재가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a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