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6일 일요일

  • 서울 28℃

  • 인천 27℃

  • 백령 24℃

  • 춘천 29℃

  • 강릉 25℃

  • 청주 29℃

  • 수원 27℃

  • 안동 28℃

  • 울릉도 24℃

  • 독도 24℃

  • 대전 29℃

  • 전주 29℃

  • 광주 30℃

  • 목포 26℃

  • 여수 30℃

  • 대구 30℃

  • 울산 29℃

  • 창원 30℃

  • 부산 30℃

  • 제주 26℃

금융 한은 "수출 중심 회복세 뚜렷해져···성장률 2.5% 전망"

금융 금융일반

한은 "수출 중심 회복세 뚜렷해져···성장률 2.5% 전망"

등록 2024.05.23 13:30

김민지

  기자

완만한 소비 회복세에 소비자물가 상승률 2.6%경상수지 600억달러 전망···당초 전망치 상회주택매매가격 불확실성 높아···PF대출 리스크 영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올해 수출 회복 모멘텀이 강화하고 소비 흐름도 애당초 예상보다 개선됐다고 판단하며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상향했다. 물가상승률은 예상보다 양호한 성장세 등으로 상방 압력이 커졌으나, 완만한 소비 회복세 등을 고려했을 때 당분간 2% 후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23일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과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각각 2.5%, 2.6%로 제시했다.

우선 올해 국내성장률은 지난 2월 전망(2.1%)보다 0.4%포인트 오른 2.5%로 전망했다. 국내 경제는 2분기 건설투자가 감소하고 소비가 둔화하는 한편 순수출 기여도가 축소됨에 따라 조정됐다가 하반기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순수출 기여도는 수출증가세가 경기개선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예상보다 국내성장률이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고 환율 수준이 높아져 상방 압력이 다소 커진 상황이다. 그러나 소비 회복세가 완만하고 정부 대책이 물가 압력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돼 2월 전망(2.6%)을 유지했다. 한은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2% 후반 수준을 유지하다가 하반기 중 2.5%를 밑돌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경상수지는 600억달러로 당초 전망(520억달러)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됐다. IT경기 회복, 미국의 강한 성장세 등에 따른 수출 호조에 힘입어 흑자 폭이 예상보다 확대될 전망이다.

한은은 주택매매가격에 대해서는 지난해 12월 이후 하락하는 추세가 지속하고 있으나, 올해 3분기 이후 하락 폭이 다소 축소하고 진단했다. 비수도권 빌라 가격의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서울을 중심으로한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올해 2월 이후 하락폭이 축소되다가 4월 보합 수준을 나타냈다.

향후 주택가격은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다. 최근 주택가격 기대심리가 점차 개선되는 가운데점진적인 금융 여건 완화 가능성, 신생아 특례대출 등도 주택가격 상방 요인으로 잠재한다. 반면 부동산 PF 관련 불확실성 상존, 높은 수준의 주택 매도물량, 미분양 물량 증가 등은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취업자 증가규모는 26만명으로 지난 전망(25만명)에 부합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 부문의 고용 증가세가 대면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둔화되겠으나, 업황 개선 등으로 제조업 고용이 회복되고 여성·고령층의 노동 공급이 지속되면서 취업자수 증가규모가 지난 전망 수준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업률은 200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던 전년 2.7% 대비 0.2%포인트 상승한 2.9%를 기록할 전망이다.

중앙정부 통합재정지출은 지난해보다 증가할 전망이다. 올해 재정지출은 정부의 건전 재정 기조 지속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재정지출이 큰 폭으로 감소한 것에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ad

댓글